목적: 베이비붐 세대의 팀 동일시, 시청몰입, 사회적 고립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 코로나19(COVID-19) 시대에 베이비붐 세대가 겪고 있는 사회적 고립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또 다른 고립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302명의 베이비붐 세대 스포츠 팬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이 진행되었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 방법이 활용되었다. 결과: 그 결과, 첫째, 팀 동일시가 시청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청몰입은 사회적 고립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동일시는 사회적 고립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시청몰입은 팀 동일시와 사회적 고립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베이비붐 세대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겪고 있는 사회적 고립감 문제를 대면하지 않고도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더불어 향후 또 다른 고립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ome problems of the country-of-origin labeling based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For this, we surveyed 636 people. The questions of the survey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criteria and subject for imposition of fine, 2) the possibility of getting consumers confused with the products using domestic regional names as domestic products, 3) criteria for the country-of-origin transplant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orestry products. According to the results, more than 30.0% of consumers preferred that it is adequate for imposing fine as much as its total sales, regardless of the type of business.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oducts using domestic regional names, consumers can be confused about the products with domestic ones, even though there is a standard for confusing country-of-origin labeling. Standard for changing the country-of-origin of agricultural, forestry products and livestock, fisheries products are not balan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data for revising the country-of-origin lab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