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깨, 호박, 오이의 모자이크 증상주에서 전자현미경 및 즙액접종에 의하여 분리한 바이러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바이러스를 즙액접종 하였을 때 P. vutgaris, P. sativum, S. indicum, C. melo, C. maxima, C. pepo는 전신감염, C. amaranticolar는 국부감염 되었다. 2. 본 바이러스는 M. persicae로 쉽게 전반되었고, 종자전염은 하지 않았다. 9. 조즙액중의 물리성은 내열성이 (10분), 희석성이 , 내보존성이 일이었다. 4. 본 바이러스의 형태는 길이 의 사상립자이고, 본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세포질내에서 세포질봉입체가 만들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5. 본 바이러스에 감염된 S. indicum, C. amaranticolor의 병엽초박절편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던바, 각종세포의 세포질내에 사상립자가 병행배열 또는 산재해 있고, 또 사상립자와 함께 반드시 세포질내입체(pinwheel, boundles, laminated aggregates)가 확인되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서 참깨 모자이크병의 병원바이러스를 Watermelon mosaic virus(WMV)로 동정하였다.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 생산과 종자 비용절감을 위한 기초적연구를 행하고저 마늘인편의 보통엽조직의 callus배양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마늘 callus의 유도 Linsmaier & Skoog는 기본배지에 Benzyladenine 10-5M과 2,4-D10-5M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 callus생장은 Linsmaier & Skoog 기본배지에 kinetin 10-6M과, 2,4D10-6M을 함유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3. callus조직내의 바이러스 소장을 조사한 결과 투명하고 부드러운 callus조직을 8대 계대배양을 하였을 때 바이러스는 제거되었다. 4. 바이러스무감염이 확인된 마늘 callus조직을 Murashing & Skoog 기본배지에 kinetin 10-5M와 NAA5×10-6M을 함유한 배지에 다식하였을 때 재분화 되어 소식물체를 형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