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 잎위에서 도열병균 부착기형성은 고도저항성인 통일과 감수성인 농림 6호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감수성인 농림 6호에는 직접 기동세포에 침입 신전되었으나 고도저항성인 통일품종에서는 그와 반대로 균계가 신전되지 않았다. 고도저항성인 통일은 생리형에 관계없이 감수성인 진여, 농림 6호보다 급속히 기생세포가 변질되는 동시에 그 비율도 높았다. 호흡율을 산소흡수율로 보면 건전조직보다 병반조직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저항성품종인 수원 180호에서 건전조직과 호흡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감수성인 진여의 경우에는 건전조직보다 호흡율이 훨씽 높았다. 그리고 품종간에도 건전부위의 호흡율의 차이가 심하였다. 호흡율은 병반이 최초로 형성되는 시기에 저항성 및 감수성을 막론하고 상승하였는데 감수성조직은 건전조직에 비하여 급속히 증가하는 반면 저항성병반에 있어서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퍼옥시다제의 활성은 건전조직에 비하여 감수성조직에서 증가하였고 생리형과 품종간에 비친화성인 저항성병반에 있어서 그 활성이 감수성병반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도저항성인 반응에 있어서는 건전 및 이병조직간에 퍼옥시다제의 활성차이가 거의 없었다. 아스코빅산, 하이드로퀴논 및 카테콜 산화효소 활성도 퍼옥시다제와 같은 경향이었다. 반대로 카탈라제의 활성은 친화성인 병반조직에서 오히려 감소하였다.
        4,000원
        2.
        197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깨씨무늬병에 심하게 이병된 병팔굉 공시종자는 배양 일에 호영, 내외영 및 주병의 그리고 과피의 가 Helminthosporium oryzae에 감염 되어 있음을 보였다. 동균은 종립전면에 분생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배유의 약10여세포층까지 감염되어 있었으나 배조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usarium moniliforme는 과피, 경유 및 배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F. roseum, Trichoconis padwicku, Curvularia spp.,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oides 및 Phoma sp.는 이하의 영 및 과피에서 검출되었다. 배양일주일에 가 깨씨무늬 병징을 나타냈으며 는 외관상 건전하였다. 깨씨무늬병균은 감염된 종자의 제점으로부터 과피를 거쳐 시아및 유근에 전염 발병케 하였다.
        4,000원
        3.
        197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1. 인삼묘포에 Captan, Difolatan, Zineb, Maneb와 PCNB를 일주일 간격으로 토양관주 하였다. 처리하기전과 2회 및 4회처리후에 각각 Rhizoctonia solani, Pythium debaryanum, Fusarium 그리고 Trichoderma 균총의 숫적 (수적)변화를 Boosalis의 특별잔사법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인삼(Panax ginseng)의 모잘록병균으로서 Pythium debaryanum을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2. Rhizoctonia solani, Pythium debaryanum의 수는 토양관주에 관계없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차로 감소하였고 Fusarium 및 Trichoderma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Rhizoctonia solani의 수는 PCNB에 의해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다른 약제에 의해서도 대조구 보다 감소하였다. 3, Pythium debaryenum은 Zineb, Maneb, Captan, Difolatan의 순으로 고 수가 증가하는 반면 Fusarium은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Tichroderma를 제외한 모든 균의 숫적 변화는 시일의 경과에 대하여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4. 토양관주에 의한 약해는 Maneb, Zineb, Captan 구에서 나타났고 묘삼 뿌리의 생체 무게는 Difolatan, PCNB, Maneb구에서 대조구 보다 증가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