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프랑스에서 러시아로 발레가 확장된 배경과 <백 조의 호수> 작품이 러시아에서 지닌 상징적, 사회적·문화적 의 미를 분석한다. 또한 <백조의 호수>가 러시아 역사에서 사회 적, 시대적, 전쟁과 위기 상황에서 문화적 표상으로 소환되는 과정과 러시아사에서의 의미와 근원으로 논의를 확장하고자 한 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 과 같다. 첫째, 표트르 대제의 서구화 정책은 마리우스 프티파 와 같은 안무가를 키울 훌륭한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둘째, 마 리우스 프티파의 <백조의 호수>는 차이코프스키의 작곡으로 러시아적 전통성과 독보적인 안무를 바탕으로 러시아인들에게 는 <백조의 호수>가 국가적 자긍심의 원천이자 문화적 상징으 로 받아들였으리라 본다. 셋째, <백조의 호수> 결말의 특징에 서는 시대의 요구에 따른 변화가 있었으며, 사랑이라는 보편적 인 주제로 러시아 내·외부적으로 많은 전쟁과 혼란을 겪는 민 중들에게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백조의 호수>가 독보적인 예술성을 바탕으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상징성을 통해 러시아인의 정체성과 역사적 기억을 형성해온 문화유산으로 기능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