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는 시각으로 감상하는 조형예술로서, 특히 현대의 서예 계에서는 서예의 공간적 조형구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회인(懷仁) 집자에 의한 <집자성교서>에 나타난 필세(筆勢), 체세(體勢)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결자조형(結字造型) 방면을 중점적으로 분석 연 구하여 왕희지(王羲之)의 결자 처리의 미적 취향을 환원하고자 하였다. 특히 서예의 결자조형(結字造型)과 필세(筆勢) 및 체세 (體勢)는 불가분할의 관계이다. 부동한 용필(用筆) 방식 부동한 결체(結體) 형태에 따라 모양과 미적 효과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고에서는 <집자성교서>에 필세와 체세, 행축선(行 軸線)에 대한 회인(懷仁)의 배치와 회인집자(懷仁集字)의 기준 을 포함하여 같은 글자를 다룰 때의 세밀한 고려를 살펴보았 다. 이에 따라 왕희지 서예를 배울 때, 진(晉)나라 사람들의 소 산(蕭散)한 자연 의취(意趣)를 깨달아야 하며 글자의 공간 조형 변화와 대비 관계를 파악하여야 함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