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안군 연안에 서식하는 닻무늬길앞잡이를 대상으로 4년간(2015~2018)의 정밀 모니터링과 2년의 추가 현장조사(2023~2024)를 수행하였 다. 조사 결과 관찰된 닻무늬길앞잡이는 2015년 27개체 2016년 49개체, 2017년 107개체, 2018년 169개체로 매년 꾸준히 증가되었으며, 7월 중순 에서 8월 초에 집중해서 관찰되었다. 또한,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를 제외한 11시부터 4시까지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 해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모니터링 결과와 2023년부터 2024년 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들을 종합하며 이들의 보전 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솔껍질깍지벌레 (Matsucoccus thunbergianae) 는 주로 우리나라 해안지방의 곰솔 (Pinus thunbergii) 을 가해하는협식성 곤충류이다. 과거 본 대상 종에 대한 생태연구는 주로 70, 80년대에 수행되었다. 하지만,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의추세와 마찬가지로, 과거 솔껍질깍지벌레 성충 우화시기에 대한 생태연구가 진행된 우리나라 전남 및 경남 지역의2 ~ 3월 평균기온이 1.5 ℃ 상승함에 따라, 성충 우화시기 변화 및 생리, 생태학적 변화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따라서, 본 연구는 2016년 3월부터 5월까지 수컷 유인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수컷의 우화시기 및 크기를 조사하였으며, 동년 7월부터 10월까지 시기별 정착약충을 채집하여 크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수컷 성충의 우화는3월 초에 시작되어, 우화 최성기는 3월 중순이었다. 이는 과거 80년대 후반에 비해 우화 최성기가 약 13 ~ 15일앞당겨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컷 성충 크기 변화는 없었지만, 정착약충은 정착약충 초기에 비하여 0.11 ± 0.008mm의 장축 성장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