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ionic contrast) 조영제와 B(Non-ionic contrast) 조영제를 사용 후 Breast 병변 환자의 dynamic검사 시 병변확인에 중요한 요소인 Time-signal intensity curve의 곡선변화를 분석하여 병변을 wash-out 으로 판단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조영제가 어떤 조영제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연구 대상은 본원에 Breast MRI를 위해 내원한 환자 중 종양으로 진단 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사 기간은 2015년 6월부터 2015년 12월 까지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4.1세(35~67세)이었다. 장비는 3Tesla 자기공명영상장치(Magnetom Verio, Siemens, Germany)와 Breast코일을 사용하였으며, 영상의 획득은 T1 FLASH 3D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하였고, Auto shimming 시행 후 조영제 자동주입기를 통해 ionic 조영제인 A(2ml/sec)조영제와 생리식염수(30ml, 2ml/sec)를 주입하였고 non-ionic조영제인 B(1ml/sec)조영제와 생리식염수(30ml, 1ml/sec)를 주입하여 영상을 얻었다. Time-signal intensity curve에 대한 분석은 Syngo MR MEAN CURVE Card(Siemens)를 통하여 평균 ROI의 직경을 5mm로 하고 Time-signal intensity curve의 peak time으로부터 기울기를 구해 비교 분석하였다. ionic 과 non-ionic 조영제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 값에 대한 비교 분석은 Independent two – sample (T- Test)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검정하였다. 결 과:Breast cancer 로 확진된 환자 32명의 ionic 과 non-ionic 조영제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를 분석한 결과 ionic 평균 기울기는 -7.70(sd=4.78) 이며, non-ionic 조영제 평균 기울기는–12.45(sd=4.84)이였으며 ionic 과 non-ionic 조영제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에 대한 T- Test 검정결과 P Valu 값이 0.01으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 론:병변판단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Time-signal intensity curve는 검사 시간에 따라 기울기에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한적인 시간내의 곡선변화는 병변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ionic contrast와 non-ionic contrast를 개별적으로 사용한 결과 non-ionic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 기울기가 ionic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의 기울기보다 좀 더 큰 변화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breast dynamic 검사 시 ionic 조영제 보다 non-ionic 조영제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유용하리라고 보여진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