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주거환경과 행복의 관계를 살펴보고, 주거환경과 행복의 영향 관계에서 가구소득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회미래연구원의 ‘2023년 한국행복조사(3차 조사)’에 응답한 전국 일반 국민 15세 이상 16,305명을 대상으로 SPSS 25.0과 Process Macro 4.1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주거환경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소득 이 높을수록 행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환경과 행복의 관 계에서 가구소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행복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가구소득을 증대 또는 안정을 위한 공공정책의 방향성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7,800원
        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OO학교에서 담당자에 의해 의뢰된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 대상으로 성폭력통념 수용도, 성태도, 성지식의 변화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이다. 프로그램 진행은 2***년 **월부터 **월까지 주 1회씩 총 8회에 걸쳐 약 120분씩 OO학교 집단 상담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객관적인 평가와 주관적인 평가를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프로그램 실시전ㆍ후에 성폭력통념 수용도, 성태도 및 성지식 검사지를 실시 한 후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주관적인 평가로서 연구자와 관찰자 중심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의 성폭력통념 수용도와 성태도 및 성지식의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구성단계에 따라 하위영역의 깊이에 변화를 주었다. 이것은 여러가지 급변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 실천현장에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와 큰 성과가 있다고 하겠다.
        6,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