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도료의 내후성 및 내광성을 향상 시키고 광택도 및 비극성수지와의 결합을 조절하기 위해 수용성 도료와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물성 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SiO2, TiO2를 실란커플링 제로 표면개질 하여 수용성 도료에 혼합하였으며, 볼밀을 이용하여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수용성 도료에 분산 시켰다.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GPS)로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저장 안정성 평가 및 광택을 측정하였다.
        4,000원
        2.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실리카는 코팅제 및 복합체의 충전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리카 표면의 실라놀기를 커플링제와 반응시켜 특정한 작용기를 도입하는 표면 처리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이산화탄 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실리카 나노 파티클을 실란커플링제로 표면 개질 하는 반응을 연구하였다. 실란커플링제로 3-(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MPS),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GPS),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APS) 세 가지 종류를 사용하였다. TGA 측정 시 감소된 양은 실리카의 표면 개질된 실란커플링제의 비율로 볼 수 있다. MPS로 개질된 실리카는 6시간 반응 시 6%, 12시간 반응 시 7%, 24시간 반응 시 9% 감소하였다. APS로 개질된 실리카는 6, 12 및 24시간 반응 시 15% 감소를 보였다. GPS로 개질된 실리카는 6시간 반응 시 6%, 12시간 반응 시 10%, 24시간 반응 시 30% 감소되었다. 가수 분해 된 GPS의 수산기가 실리카 표면의 에폭 사이드 그룹과 반응 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GPS 비율이 증가합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