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튤립나무 가지의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생리활성 물질 함량, DPPH, 환원능력, Fe2+ chelating효과와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 그리고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5.34 mg gallic acid/g과 20.15 mg quercetin/g이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EC50은 289.68±2.04 μg/mL; 환원력 측정에서 100 μg/mL 농도에서 흡광도는 0.388이었으며, Fe2+ chelating 효과에서는 200 μg/mL 농도에서 36.33%로 나타내었고, 지질과산화 억제 효능에서는 200 μg/mL의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38.56%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서는 HT-29와 Hela cell line에서 튤립나무가지 메탄올 추출물이 200 μg/mL의 농도에서 56.94%와 35.73%의 세포생장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항산화능력은 총 페놀성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튤립나무 가지에 대한 기타 생리활성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chilus thunbergii was an important medicinal resource and distributed widely in China. In this study, the bioactivitie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DF) and water fraction (AF) from Machilus thunbergii methanol extract were investigated. Total phenolic contents of DF and AF were 57.90 mg Gal/g and 189.92 mg Gal/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17.34 mg Que/g and 58.38 mg Que/g respectively. The EC50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F and AF were 24.37 μg/ml and 2.10 μg/ml. Reducing power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AF were higher than those of DF.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AF (IC50 = 1.13 μg/ml) was higher than that of DF (IC50 = 5.34 μg/ml). The cell viability was showed that only the DF had anti-proliferation effect on human cancer cell HT-29.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oth the DF and AF extract of Machilus thunbergii were potential materials for anti-diabetes and functional food for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