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혁신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지급결제 방식인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가 제공하는 혜택이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구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지각된 혜택을 단일 변수가 아닌 다차원적인 변수로 검증하여 실효성 있는 혜택을 확인하였다는데 학문적/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가 제공하는 혜택을 지각된 실용적 혜택(편리성, 경제성, 정보성)과 지각된 유희적 혜택(즐거움, 경험성, 인식성)으로 나눠 측정하였다. 더불어, 사회적 영향요인이 혜택과 사용의도 및 구전과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를 경험해 본 적 있는 미국 내 성인 소비자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편리성, 경제성, 즐거움은 소비자의 긍정적인 구전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용의도에는 유희적 혜택 중 인식성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선발 국가이자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미국시장에 대한 분석으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시작하는 후발 국가에서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 성능 향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ICT산업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업계 후발주자이지만 매년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현재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FEA모델(Functional, Expressive, Aesthetic)을 적용하여 중국 소비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채택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더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채택요인이 제품의 만족, 브랜드 충성도와 브랜드 내 다른 상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중국 내 소비자 208명을 대상으로 총 5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호환성, 유희적 동기, 하위문화적 매력요인이 채택요인으로 확인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만족은 해당 브랜드의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인식과 평가를 이해하는데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 실무적 통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