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도라지역에 분포하는 개미의 종류와 그의 종조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1986년, 1989년, 1990년, 1991년의 4년간 10개 도서의 31개 지역에서 740 colony를 채집하여 동정 한 결과 4아과 30속 54종이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 대흑산도 예리에서 채집한 쌍털비늘개미(신칭)와 소안도 맹선리에서 채집된 조개무늬비늘개미(신청)는 한국산 미기록종인 것으로 사료된다. 10개 도라지역에 분포하는 개미의 종조성이 밝혀졌으며 Nomura-Simpson's Coefficient(NSC) 공식에 의한 종류사도를 분석한 바 전라남도 도라지역의 개미상은 연속적이였다
불개미를 송충의 천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경남지방에 있어서 불개미의 분포, 일만 생태, 이식가능 한계기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블게미는 1-3령기인 송충을 포식하였다. 2) 경남 지방의 불개미의 분포는 18개군 474개소에 분포하고 있으며 총면적은 였다. 3) 불개미 집의 분포는 하부에 , 중부에 및 상부에 였다. 4) 조소의 높이와 군세는 정비례하며 회귀 방정식은 Y=6,200 X-27,813이였다 또한 조소와 수분과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불개미의 이식 한계기는 5월-9월이었고 불개미를 이식한 바 1연간에 5개의 집을 만들었다.
1959-'65년 사이에 구기자혹응애 (Eriophyes kuko 가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의 잎, 과병 및 꽃받침(화탁) 등에 식입하여 Gall을 형성함으로 인한 가해상태를 관찰할 목적으로 그 Gall의 내부조직의 식입 후 경과일별로 검경한 결과를 수록하였다. (1) 식입후 1일 까지는 책상조직만 식해하였다. (2) 1-10 일까지는 해선상조직의 일부까지 식해하나 이 기간에 있어서의 일별차이는 근소하였다. (3) 15 일 이후까지는 해선상조직까지 완전히 식해할 뿐만 아니라 엽록체도 대부분 소실되고 해면상의 공동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