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바일 환경에서 3D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 중 하나로 유니티 3D 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유니티 3D 엔진을 이용하여 3D 가상현실 서비스가 가능하나 3D 가상현실 장면의 저장, 교환, 전송을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데이터 형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유니티 3D 엔진에서 국제표준 ISO/IEC 19775-1 X3D (Extensible 3D)를 사용할 수 있다면 모바일 환경에서 가상현실 응용 서비스를 위한 3차원 장면 생성과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니티 3D 엔진을 이용하여 X3D 가상현실을 생성, 변경 및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3D 장면 접근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이를 위해서 유니티 3D 엔진에서 X3D 파일의 오브젝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C#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 저장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이 데이터에 접근하여 값을 입출력하는 언어 바인딩 함수를 정의한다. 그리고, 유니티 3D 엔진과 C# 바인딩 함수를 사용하여 X3D 데이터를 파싱하고 건물 모델링 생성, 멀티 텍스처 매핑 등 여러 오브젝트들을 생성하고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4,000원
        2.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cent rise in applications of thermoelectric materials has attracted interest in studies toward the fabrication of thermoelectric materials using mass produc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we successfully fabricate n-type Bi2Te2.7Se0.3 material by a combination of mass production powder metallurgy techniques, gas atomization, and spark plasma sintering. In addi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hydrogen reduction in the microstructure, the thermoelectric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measured and analyzed. Here, almost 60% of the oxygen content of the powder are eliminated after hydrogen reduction for 4 h at 360°C. Micrographs of the powder show that the reduced powder had a comparatively clean surface and larger grain sizes than unreduced powder. The density of the consolidated bulk using as-atomized powder and reduced atomized powder exceeds 99%. The thermoelectric power factor of the sample prepared by reduction of powder is 20% better than that of the sample prepared using unreduced powder.
        4,000원
        3.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type ternary Bi0.5Sb1.5Te3 alloys are fabricated via mechanical alloying (MA) and spark plasma sintering (SPS). Different ball sizes are used in the MA process, and their effect on the microstructure; hardness,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p-type BiSbTe alloys are investigated. The phases of milled powders and bulks are identified using an X-ray diffraction technique. The morphology of milled powders and fracture surface of compacted samples are examin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morphology, phase, and grain structures of the samples are not altered by the use of different ball sizes in the MA process. Measurements of the thermoelectric (TE) transport properties includ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Seebeck coefficient, and power factor are measured at temperatures of 300- 400 K for samples treated by SPS. The TE properties do not depend on the ball size used in the MA process.
        4,000원
        4.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ectronic products are a major part of evolving industry and human life style; however most of them are known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that have severe health hazards. Therefore, different materials and fabrication techniques are understudy to control or limit transfer of such waves to human body. In this study, nanocomposite powder is dispersed into epoxy resin and shielding effects such as absorption, reflection, penetration and multiple reflections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nano size powder (Ni, Fe2O3, Fe-85Ni, C-Ni) is fabricated by pulsed wire evaporation method and dispersed manually into epoxy. Characterization techniques such as X-ray diffrac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re used to investigate the phase analysis, size and shape as well as dispersion trend of a nano powder on epoxy matrix. Shielding effect is measured by standard test method to investigate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of planar materials, ASTM D4935. At lower frequency, sample consisting nano-powder of Fe-85%Wt Ni shows better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 compared to only epoxy, only Ni, Fe2O3 and C-Ni samples.
        4,000원
        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vertical wall to prevent of circulation or pollution during building of ocean structures like a dam and bridge in the harbors area and the sea. Inflow fluid and base of structure are important thing as one of the structural design factors for this interception wall like a vertical wall and watertight wall. In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at least 2,000 instantaneous velocity field data are required for ensemble average to get reliable turbulence statistics. The flow behind of vertical wall was investigated using the PIV system from this study. From the results, the large vortex flow developed in recirculation zone for one row wall and two vortex flows developed over two rows. Scale of the vortices in recirculation zone was decreased to 45% over three rows.
        4,000원
        7.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의 연돌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해상조건과 선박에 미치는 풍속 등 외부 환경조건이나 항행속도에 따라 배기의 확산조건이 달라지며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역류하는 경우도 발생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실선을 1:400로 축소한 모델을 사용하여 거주구 주위의 유동특 성을 PIV기법을 통하여 계측하였다.
        4,000원
        8.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알루미늄은 낮은 비중을 가지는 금속으로 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볍고 비강도가 크므로 건축물의 외장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의 경우 다른 금속에 비해 산화되기 어렵고 낮은 융점으로 인해 사용이 끝난 알루미늄 재료의 경우 녹여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건축물 외장 재료로 사용되는 복합 패널의 경우 철, 동, 강 등의 금속과 알루미늄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알루미늄을 분리할 경우 쉽게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복합 패널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결합된 소재들을 분리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알루미늄 복합 패널은 건축물 철거 시 발생하는 폐자재로 일정한 형태가 없고 크기가 다르므로 일반적인 재활용 장비에서 처리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재활용 업체에서는 가열하거나 수작업을 통해 알루미늄을 분리하고 있지만 가열방식에서는 유해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 문제와 수작업을 통한 높은 인건비 비용에 대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복합 패널 폐자재(스크랩)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설비 및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발된 장비를 통해 복합 패널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파쇄된 복합물에서 알루미늄과 폴리에틸렌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분리된 알루미늄을 일정한 크기의 그래뉼 입자로 만들었다. 구조해석을 통해 장비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일정한 크기 및 순도를 가진 알루미늄 그래뉼 입자가 생성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생산된 알루미늄 그래뉼 입자의 순도 및 크기를 분석하여 건축용 복합 패널 스크랩의 알루미늄 재활용성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