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gypsum application on dry matter yield (DMY), mineral content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and soi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land in South Kore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eokmun,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which is reclaimed with approximately 70 cm depth of degraded island soil. Treatments consisted of a control with no gypsum application (G0), 2 ton ha-1 (G2), and 4 ton ha-1 (G4) of gypsum application. The first harvest was carried out when the alfalfa reached 10% flowering, and subsequent harvests were conducted at 35-day intervals. Over the three-year experimental periods (2019-2021), the total DMY of G2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0 and G4 (p<0.05). Although both G2 and G4 gypsum application treatments lowered soil pH, the G4 treatment increas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 content of the soil. Additionally, gypsum application affected the mineral contents of alfalfa, resulting in reduced concentration of sodium (Na) and Magnesium (Mg). Therefore, this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 gypsum application rate of 2 ton ha-1 is optimal for improving alfalfa dry matter yield and mineral balance, as well as enhancing soil chemica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land in South Korea.
        4,300원
        2.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혼합지방과 쇠기름, 옥수수기름, 들기름을 각각 15%(w/w) 수준으로 Sprague Dawley종 수컷 주에게 섭취시키면서 식이와 동시에 화학적 발암원인 DMH를 투여하여 식이지방의 조성이 대장점막 및 인지질과 phosphatidyl inositol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장점막과 인지질 및 PI의 지방산 조성은 식이지방의 지방산 조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대장점막 인지질의 C_18:2 분포는 식이중의 linoleic acid함량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여 CO>BF>PO>BT군의 순서로 유의성있게 낮아졌으나 C_20:4 분포는 C_18:2 분포와는 다르게 CO군과 BT군이 같은 수준으로 높았으며 PO군이 가장 낮아 식이의 linoleic acid 함량에 꼭 비례하지는 않았다. DMH를 투여한 경우에는 PO군을 제외한 세 군에서 C_20:4 함량이 증가하였다(P<0.05). PI의 지방산 조성도 인지질과 비슷한 양상을 보여 C_18:2 분포는 CO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C_20:4는 BT군이 대조군과 DMH처리군 모두에서 PO군 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