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transforming healthcare, yet little is known about how consumers experience and make decisions regarding follow-up care with medical AI. We tak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combining behavioral research and neuroscience to examine how anthropomorphism and personalization influence well-being and follow-up decisions. Study 1 found that consumers felt well-being after interacting with a highly personalized interaction, whether human or AI doctor. However, they preferred follow-up visits with the human doctor. Empathy mediated these effects. Study 2 used fMRI to show that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had greater activation when interacting with the human doctor, indicating more emotional processing and conflict resolu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dical AI cannot currently replace human doctors, who remain vital for actual medical consultations and treatment. However, consumers viewed AI doctors positively and expressed a belief that AI will enhance well-being. By integrating neuroscience, this research provides biological evidence complementing behavioral findings.
        3.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마트폰은 2000년대 중후반 본격 보급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빠른 채택, 피쳐폰에서 축적한 기술력 및 수직 통합 체제와 프리미엄 제품 포지셔닝 에 기반한 공격적 제품⋅마케팅 전략에 힘입어 2011년 스마트폰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한지 불과 4년만인 2015년 중국에 추격 을 허용하였다. 이와 같은 빠른 산업 주도권 이전 현상을 논의하기 위해 본 연구는 추격 사이클의 관점에서 중국 스마트폰 산업의 부상을 견인한 기술, 수요, 그리고 제도⋅정책적 기회의 창과 이에 대한 중국 기업의 전략적 대응 및 우리나라의 실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 온 칩 업체의 등장과 스마트폰 아키텍처의 모듈화는 스마트폰 산업 진입에 대한 중국 기업의 기술적 장벽을 크게 낮춤과 동시에 체계적 역설계를 통한 기술 학습을 촉진하는 기술적 기회로 작용하였다. 또한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저가⋅보급형 중심의 세계 시장 성장과 같은 수요적 기회는 중국기업의 시장 개척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세계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의 통신 기술자립화와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의 노력은 중국 스마트폰 기업의 기술 역량 제고와 시장 성과 창출을 지원하는 정책적 기회의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기회의 창에 대해 중국 기업은 외부 시스템 온 칩의 전략적 활용, 공격적인 저가⋅보급형 세분 시장 공략 및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 트폰 외주 생산 확대 또는 부품 내재화를 통한 성능 향상 등의 전략적 대응을 통해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다. 반면 우리나라는 과거 성공 전략 고수에 따른 저가 제품 출시 지연, 강력한 수직 통합 체계 구축으로 인한 부품 조달 변경을 통한 제품 개선과 원가 절감 등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산업 주도권을 중국에 넘겨주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산업 주도권 이전 현상에 대한 최신 실증을 추가함으로써 추격 사이클 이론의 발전과 심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되며, 향후 우리나라 스마트폰 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 수립에 중요한 지침으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8,100원
        4.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ver-evolving fashion industry has brought for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environmentto the extent that environmental contamination, labor exploitation, and pirated or counterfeit products have emerged as serious social issues. The sustainability-related issues are associated with all stages of the product lifecycle, ranging from the extraction of raw materials to product disposal (Berkhout & Smith, 1999).In lifecycle management (LCM), the triple bottom line (TBL) of sustainability i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duct lifecycle (Kocmanova & Nemecek, 2009). TBL refers to corporate efforts to keep a balance among financial viability, environmental soundness and social accountability (Elkington, 1997). As sustainable products are defined in the light of lifecycles, research o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has drawn much attention (Gmelin & Seuring, 2014).In addition, PLM is known to exert substantial effects on new product development, which warrants the need to view new sustainable products from the perspective of PLM (Cantamessa, Montagna, & Neirotti, 2012).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apply a conceptual model of PLM-based new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to the fashion industry and to take multifaceted approaches to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velopment. To that end, case studies of 21 local and global sustainable fashion brands, 1:1 in-depth interviews with 24 experts from sustainable and non-sustainable fashion brand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5 sustainable fashion brands were conducted as part of this study. The findings illuminate the management issues attributable to the lack of technology and expertise, as well as the quantification issues involving monitoring or normalized data collection, despite the presence of some process-specific sustainable items in sustainable products developed by the fashion brands. Also, the findings will serve as reference data for further discussions and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velopment of fashion br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