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증가한 상어의 출현빈도 증가는 상어 혼획의 증가와 더불어 상어에 의한 생태계 변화의 정밀 해석의 필요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안정동위원소는 생태학적 현상을 해석하 고 이해하는 데 사용되며, 상어의 이동에 대한 원인과 생태계 내 상어의 위치 및 생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총론에서는 한국의 상어 연구에서 영양 단계와 먹이 구성을 추정하고 이동 및 서식지 이용 패턴을 추론하기 위한 안정동위원소 기법의 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자들이 이 접근법의 강점과 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의 영양 단계 판별 특성, 그리고 영양 단계 및 먹이 구성 추정을 위한 방법론적 고려 사항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고자 하며 연골어류 특유의 특성에 대한 동위원소 기법의 주의 사항 및 화합물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최신 연구도 소개한다. 안정동위원소 기법은 위내용물, 유전자, 생지화학적 마커와 공동 활용을 통해 상어 생태학에 대한 기본적인 의문을 해결하는 데 강력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done to understand the G x E interaction of rice blast reaction for Japonica high quality rice varieties and to observe blast pattern for high quality varieties. Twenty one percent of the total sum of squares (SST) in blast reaction data of high quality Japonica varieties is attributed to genotype (G) by environment (E) interaction variation. This portion of blast response is higher than 8~12% of G x E effect in blast severity data obtained from various ecotypes of rice varieties. Blast response scores obtained from high quality Japonica varieties group were more severely affected by environment condition than mixed groups with Japonica and Indica varieties. Interac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PCA) scores obtained from AMMI analysis for the leaf blast response implied variation of G x E interaction. Correlation analysis suggested that IPCA1 was associated with latitude, maximum mea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mean cloud amount. IPCA2 was associated with mean relative humidity, and IPCA3 was associated with precipitation and minimum relative humidity. Pattern analysis generated nine genotype clusters according to blast reaction over 11 regions. Collectively, the A, B, C, and D groups were susceptible to rice blast, where as the E, F, G, H, and I groups were relatively resistant to rice blast through multi-location blast nursery test.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fied genes of high quality varieties and blast scores at each test site in the level of group could b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from G x E Interact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