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협약 (1992년)과 나고야의정서 (2010년)의 체결 이후 우리나라는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자생생물의 조사·발굴 연구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러한 계기로 2007년에 설립된 환경부 소속 국립 생물자원관의 주도로 “한반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이 진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6년 이후 현재까지 15년 동안 5단계 (1단계 2006~2008년, 2단계 2009~2011년, 3단계 2012~2014년, 4단계 2015~2017년, 5단계 2018~2020 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본 사업의 이전에 29,916종 (2006년)이던 한반도 자생생물이 본 사업의 각 단계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누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33,253종 (2008년), 2단계 38,011종 (2011년), 3단계 42,756종 (2014년), 4단계 49,027종 (2017년), 그리고 5단계 54,428종 (2020년)으로 급속히 증가하여 본 사업 기간 동안 한반도 자생생물 기록종이 약 1.8배 증가하였다. 이 통계자료는 이 기간 동안 연평균 2,320종의 한반도 미기록종이 새로이 기록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전체 발굴종 중에서 총 5,242 종의 신종을 기록하는 학술적 큰 성과를 거두었다. 분류군 별로는 총 연구 기간 동안 곤충 4,440종 (신종 988종 포함), 무척추동물 (곤충 제외) 4,333종 (신종 1,492종 포함), 척추 동물 (어류) 98종 (신종 9종 포함), 식물 (관속식물과 선태식물) 309종 (관속식물 176종, 선태식물 133종, 신종 39종 포함), 조류 (algae) 1,916종 (신종 178종 포함), 균류와 지의류 1,716종 (신종 309종 포함), 그리고 원핵생물 4,812종 (신종 2,226종 포함)이 한반도에서 새로이 기록되었다. 생물표본은 각 단계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247,226점 (2008년), 2단계 207,827점 (2011년), 3단계 287,133점 (2014년), 4단계 244,920점 (2017년), 그리고 5단계 144,333점 (2020년)이 수집되어 연평균 75,429점, 총 1,131,439점의 생물표본이 채집되었다. 그중에서 곤충 281,054점, 곤충 이 외의 무척추동물 194,667점, 척추동물 (어류) 40,100점, 식물 378,251점, 조류 (algae) 140,490점, 균류 61,695점, 그리고 원핵생물 35,182점이 채집되었다. 본 사업에 참여한 각 단계별 연구원/보조연구원 (주로 대학원생)의 수는 1단계 597/268명, 2단계 522/191명, 3단계 939/292명, 4단계 575/852명, 그리고 5단계 601/1,097 명으로 전체년도의 참여연구자는 연평균 395명, 총 연인원 약 5,000명이 참여하여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와 분류학 전공의 대학원생이 참여하였다. 본 사업 기간 동안 전문 학술지 논문 3,488편 (국내학술지 논문 2,320편, SCI급 국제 학술지 논문 1,168편 포함)이 출판되었다. 본 사업 기간 중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 및 생물표본 확보 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총 833억원 (연평균 55억원)이다. 본 사업은 국가 주도의 대형 연구 프로젝트로서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가 참여하고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어 단기간에 이루어 낸 한국식 압축성장의 한 성공 사례로 볼 수 있다. 본 사업의 종발굴 성과는 최근의 생물분류 체 계로 분류되어 국가생물종목록으로 만들어졌으며, 전문가와 학생 및 일반 시민에게 제공되고 있다 (https://species. nibr.go.kr/index.do). 본 사업에서 파생된 기재문, DNA 염기 서열, 서식처, 분포, 생태,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각 종의 정보는 디지털화되어 생물의 계통, 진화 연구 등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였고,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종의 변화 같은 생물 분포 모니터링 사업과 바이오산업의 생물소재를 탐색하는 기반이 되었다. 본 사업을 통하여 젊은 분류인력 (주로 대학 원생)의 양성을 지원할 수 있었던 것은 본 사업이 가져온 가장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과거 15년간 숨 가쁘게 달려온 본 사업은 아직 진행 중이다. 그동안 발굴된 종 들에 대한 이명 (synonym)과 오동정 등을 바로잡아 학문적인 완성도를 높이고, 한반도에 존재하리라 예상되는 약 10만 종의 자생생물 중에서 남겨진 5만 종에 대한 조사·발굴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We identified two soil stichotrichs, Eschaneustyla lugeri Foissner, Agatha & Berger, 2002 and Oxytricha auripunctata Blatterer & Foissner, 1988, which were collected from Sarabong, Jeju and Ajoong-ri, Jeonju in Korea, respectively. Eschaneustyla lugeri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size in vivo 170-230 μm×40-60 μm; body elongate elliptical and often very narrow in the posterior region, highly flexible; cortical granules present; 48-67 macronuclear nodules; 27-47 frontal cirri; 3-5 buccal cirri; frontoterminal row and rightmost midventral row; transverse cirri absent; 4 dorsal kineties; 4-9 caudal cirri. Oxytricha auripunctata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size in vivo 75-95 μm×25-35 μm; body elliptical, both ends moderately narrowly rounded; orange-yellow cortical granules and yellowish crystals; 3-4 transverse cirri; 5 dorsal kineties; 3 caudal cirri. These two ciliates are first reported in Korea. We describe these ciliates based on live observations and protargol-impregnated specimens.
We discovered three soil ciliates of the class Colpodea-Colpoda henneguyi Fabre- Domergue, 1889; C. lucida Greeff, 1888; and Bursaria truncatella Müller, 1773 from Obong-ri, Ayajin-ri and Elwang-ri (Korea), respectively. Colpoda henneguyi had the following features: often wider preorally than postorally, size in vivo 60-80 μm×50-70 μm; extrusomes indistinct in vivo, cylindroid approximately 1 μm long; notches caused by deep diagonal groove; yellowish globules on the cortex of the cell; 10-12 postoral kineties; silverline system aspera-type. Colpoda lucida exhibited the following features: broadly reniform, size in vivo 70-90 μm×50-70 μm; conspicuous extrusomes, 3.5-5 μm long in vivo, cylindroid to fusiform; 13-16 postoral kineties; silverline system cucullus-type. Bursaria truncatella had the following features: bursiform, size in vivo 300-470 μm×120-260 μm; macronucleus coiled with highly variable shapes, 600-1100 μm×30-40 μm long in vivo; micronuclei 16-25 in number, approximately 4 μm in diameter; extrusomes cylindroid, 3-4 μm long in vivo.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olpodean ciliates from Korea, and we describe these species based on observations of live and impregnated (protargol and silver nitrate impregnation) specimens.
고하목은 연갑강에 속하는 갑각류 목의 하나로 지하수의 간극에 서식한다. 지하수는 수계별로 구분되며, 과거 지질변 동 이후에는 수계가 격리되어, 지역적 고유성이 매우 높아 지표종으로 활용하기에 유용한 분류군이다. 고하목의 서식 지는 지하수인데, 이들은 서식지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높다. 따라서, 지각변동 등 어떠한 요인으로 인한 수계의 혼합 또는 단절이 일어났을 경우 형태적으로 수렴진화하거나 종분화 과정 중에 있는 형태적으로 식별이 어려운 complex종의 출현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태적 식별이 어려운 종들 에 대하여 유전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종들의 분류학적 위치 를 바로 잡아야 할 필요가 있다. 유전정보를 활용한 연구를 하여, 형태적으로 혼란이 많은 종들의 위치를 바로잡는 동시 에 새로운 종의 발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총 13개 지역에서 채집한 한반도 서식 너도고하과 (Parabathynellidae) 20종에 대하여 74개의 염 기서열을 획득하여 계통학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반적으 로 너도고하과에 속하는 종들은 속 수준으로 잘 나뉘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까지 채집한 종들은 4개의 속 (Allobathynella, Arisubathynella, Hangangbathynella, Eobathynella)에 속하는데 이들이 각기 다른 그룹으로 묶이 는 것으로 보았을 때 너도고하과는 단계통으로 여겨진다. 또한 종간 변이의 최대값은 37.5 %로 이는 대전 서구 흑석 동 Allobathynella와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대은리의 Eobathynella 와의 차이다. 또한 종간 변이의 평균값은 26.5 %였다. 추후 더 다양한 채집지역과 다른 속들의 종이 포함 된 이후 분석한다면 더욱 해상도 높은 연구가 될 것이라 예상한다.
We verified three ciliates - Dysteria brasiliensis Faria et al., 1922, Dysteria lanceolata Claparède and Lachmann, 1859, and Dysteria ovalis (Gourret and Roeser, 1886) Kahl, 1931 - as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hese three ciliates were collected from Incheon Harbor and Geojin Harbor in Korea. We describe the three species based on live observations, protargolimpregnated specimens, and silver nitrate-impregnated specimens.
Three marine isopods, Symmius yamaguchiensis Shimomura, 2008, Colanthura pigmentata Kensley, 1980 and Synidotea nipponensis Nunomura, 1985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The family Chaetiliidae, and genera Symmius and Colanthura are new to South Korea. We provide descriptions of the diagnostic characteristics, illustrations of three species and their partial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for molecular characteristics.
Two marine isopods, Pentias hayi Richardson, 1904 and P. thompsoni Collinge, 1916 were verified as unrecorded species in South Korea. The genus Pentia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These two isopods were collected from Heuksan-do Island and Ulleung-do Island from South Korea, respectively. We provide descriptions of the diagnostic characteristics, illustrations of two species and their partial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for molecular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