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용 및 사료용 곤충으로 활용되는 풀무치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발육 단계별 난소 및 알 발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난소발육을 조사한 결과, 풀무치는 1쌍의 난소와 90개 이상의 무영양실형 난소소관을 가지고 있었다. 난소 길이는 5령 약충보다 성충시기가 더 길었다. 성충 1일째 난소길이는 5령 1일보다 약 2.5배 길었다. 난소 길이는 성충 30일까지 증가한 후, 성충 35일부터 감소되었다. 난소소관 길이는 난소 길이의 1/2 정도로, 역시 난소 길이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난소 및 난소소관 길이는 체중과 비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난소소관의 수는 94-104개로 성충 30일이 총 104개로 가장 많았고 35일부터 감소하였다. 성숙란 수 역시 성충 15일부터 확인할 수 있었고, 성충 30일이 50.6개로 가장 많았다. 수정낭의 크기는 또한 발육 단계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난괴에서 알을 분리하여 산란 후 일별로 발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산란 4일부터 무게 및 알의 크기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산란 후 7일부터는 변화의 폭이 거의 없었다. 산란 7일부터 몸체의 구분이 가능했으며, 산란 10일에 부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풀무치의 난소발육은 성충 30일이 가장 좋았고, 산란 10일경에 풀무치 1령 약충이 우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atratus)는 대형 거저리류로, 영양적 가치가 높아서 현재는 식용, 사료용 곤충으로 활용하고자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아메리카왕거저리의 산란율 향상을 위해서 산란에 적합한 광주기 조건을 조사하였다. 9L/15D, 12L/12D, 15L/9D (암수비율 1:2, 온도 30 ℃, 습도 65% RH, 조도 1800 lux) 의 광조건 하에서 산란수 조사 결과, 아메리카왕거저리의 산란수은 약 5주간은 증가하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메리카왕거저리 1마리의 일일 평균 산란수은 15L/9D가 22.9±6.5개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9L/15D 16.8±8.5개, 12L/12D 7.5±4.6개 순이었다. 누적 산란수(15주) 역시 15L/9D가 291.1±120.2개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9L/15D 200.9±111.3개, 12L/12D 87.7±64.1개 순이었다. 그러나 폐사율은 9L/15D가 53.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12L/12D 50.0%, 15L/9D 43.3% 순이었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아메리카왕거저리의 산란에 적합한 광주기는 15L/9D로 판단된다.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분매개곤충인 호박벌(B. ignitus)의 교미율을 높이기 위하여 생식기관 발육과 교미에 의한 성적 성숙시기를 조사하였다. 난소 소관 당 알 수와 수정낭 크기 등 난소 발육으로 볼 때, 여왕벌의 성적 성숙시기는 우화 10일 이내이었다. 수벌의 정자수는 우화당일에 24.6만개이었고, 우화 9일째가 48.0만개 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우화 35일(8.7만개) 이후 정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미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자수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벌의 정자수에 의한 성적 성숙시기는 우화 3~15일이었다. 교미에 의한 성적 성숙시기 조사결과, 여왕벌은 우화직 후에는 전혀 교미를 하지 않았으며, 우화 20일 이후에는 교미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미율과 산란율 등으로 볼 때 여왕벌의 교미에 적합 한 시기는 우화 9~20일이었다. 반면에 수벌은 우화 직후에도 3.3% 교미하였으며, 우화 6일째가 43.3%로 가장 높았으며, 우화 25일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교미율과 산란율 등으로 볼 때, 수벌의 교미 성숙시기는 우화 6~20일이었다. 이상의 생식기관 발육과 교미에 의한 봉세발 달 등으로 볼 때 호박벌 여왕벌의 최적 성적 성숙시기는 우화 9~12일, 수벌은 우화 6~9일로 판단된다.
        4,000원
        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hav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uper mealworm on different temperatures. The test was conducted with four different temperatures of 25℃, 27℃, 30℃, and 33℃. In developmental period of 1 to 18 instars of four temperatures, 30℃ showed the shortest developmental period as 120.0±5.8 days, and 33℃ (132.6±10.7 days), 27℃ (136.5±9.2 days), 25℃ (156.7±7.5 days) in the following order. The death rate of 33℃ larvae was 2.7- 3.3 times higher than that of other temperatures. The lower temperatures tended to show the longer larval developmental period except 33℃. In the body weight, 30℃ showed the heaviest body weight and 27℃, 33℃, 25℃ in the following order. The head capsule, body capsule and body length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body weight. The 88.8% of prepupa time of super mealworm was 16-18 instars. The longer prepupa time was accompanied by the lower temperature. In average prepupal period of 15-18 instars, 27℃ was 18.8±1.9 days, 18.8±2.3 days in 30℃, 23.0±2.4 days in 33℃, 23.1±2.9 days in 25℃. The average of pupal period of female and male in 25℃- 33℃ was 11.1±2.2 days and 11.6±2.4 day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most suitable rearing temperature of super mealwarm was turned out as 30℃.
        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have investigated the most suitable photoperiods for development of Zophobas atratus, super mealworm. The test was conducted with three different photoperiods of 9L/15D, 12L/12D and 15L/9D. The rearing conditions were 30℃, 65% R.H and 1,330 to 1,800 lux with wheat bran. In developmental period of 1 to 15 instars of three photoperiods, 12L/12D showed the shortest developmental period as 79.2±2.6 days, and 9L/15D (82.6±3.1 days), 15L/9D (84.2±2.3 days) in the following order. larval developmental period wa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The death rat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body weight, 12L/12D showed the heaviest body weight and 15L/9D, 9L/15D in the following or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body weight. The head capsule, body capsule and body length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body weight. The 79.6% of prepupa time of super mealworm was 15-17 instars. The longer prepupa time was accompanied by the lower daylength condition. In average prepupal period of 15-20 instars, 9L/15D was 17.7±2.5 days, 18.4±2.5 days in 12L/12D, 16.2±3.7 days in 15L/9D. The average of pupal period of female and male was 9.0±1.1 days and 9.6±1.3 day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most suitable rearing photoperiod of super mealwarm was turned out as 12L/12D
        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outhern region of Korea, double cropping system including soybean as a second crop is widely adopted because prolonged high temperature in October enables soybean maturation even in late autumn. Global warming during decades derives transition of soybean planting dates as late as late-July. Delayed planting beyond the critical time moves reproductive stage to less favorable weather conditions like low temperature and short photoperiod, which can affect soybean yield and seed composition. Therefore selection of appropriate cultivar for changed climate and cultural practice is required. Effects of different eco-type and planting date on soybean yield was investigated for three sowing dates of 20 June, 5 July and 20 July with ten cultivars. Strong interaction between cultivar and sowing date was detected in number of branch, node and pod.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observed in 100-grain weight and yield, and this might be resulted from similar yield reduction pattern. Daepung, Taekwang and Uram recorded the highest yield when planted late, proving that these three cultivars are the most adaptable to delayed planting. Delayed planting results in higher sugar content, especially stachyose and raffinose which have detrimental effect on human health by causing flatulence and diarrhea. Protein content was decreased and oil content was increased in July 20 planting. Decrease in protein content was the largest in Hwangeumol and maintained high in Saedanbaek. This information will provide a guideline when select appropriate soybean cultivar in delayed planting to maintain yield and seed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