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도 튤립공원 내에 지역의 테마를 활용한 특화된 정원을 조성할 목적으 로 진행된 것이다. 신안의 튤립축제는 2008년부터 임자도 대광해수욕장 인근지역에서 개최되어왔으 나 행사는 대규모 꽃 식재중심이며, 특정기간에만 이루어진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지 역주민 및 방문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면서 연중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공원 일부의 리노베이션을 계획·제안했다. 대상지의 디자인 원칙 및 주요 컨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근에 매화도 로 유명한 조희룡 화백의 미술관이 있으므로 이를 연계하여 상징성을 부여했다. 즉 매화도의 실제 이미 지를 가져와 공간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했다. 둘째, 기존 수목을 최대한 유지 활용하면서 인접 시설들 의 정형적 배치나 식재 패턴 등을 고려한 디자인을 적용했다. 테마정원 구상에서는 조희룡 매화도 길을 주동선으로 계획하였고 기존 홍매화, 소나무, 대나무를 이어주는 송죽매(松竹梅) 체험 포토존을 배치 하여 대상공간에 테마를 부여했다. 풍차전망대로 이어지는 녹지에는 홍매화 입체정원을 조성하여 랜 드마크 역할을 부각시켰다. 대상지 서측부는 휴게 및 모임을 위한 교류쉼터로 기존 가로수와 잔디밭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계획했다. 상호교류의 의미가 담긴 삼각형을 벤치, 녹지, 포장 패턴에 도입하여 협 소한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본 조성 계획을 통해 튤립축제, 매화정원, 조희룡 미술관, 임자해수욕장, 치유의 숲 등을 찾는 방문객 및 주민 모두에게 지역의 특화된 이미지 부각 과 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한 테마정원 조성 계획안이 마련되었다.
        4,0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라남도 청사 및 남악호수 일원에 도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녹색문화숲 확충을 목표로 전라남도와 무안군이 함께 진행한 것이다. 2005년 조성 이후 많은 시간이 경과되었으나 공공청사에 부설되어 있는 녹지라는 이미지로 인해 도청방문객 및 지역주민들의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에 한계가 있어 방치되어왔다. 이에 청사 전면부와 청사 내 주변 공간을 도민을 위한 공공공간 즉 공원으로 조성하여 개방하였다. 청사 앞 광장과 청사 주변 공간은 기능을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도청 내 호수 주변 녹지는 도민을 위한 개방된 공공공간인 공원, 즉 열린 숲으로 계획했다. 청사 내 기존자원 즉 남악 호수 및 숲 등을 활용하여 지역의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특화된 산책로를 계획했으며, 모두가 원하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기능의 공간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했다. 아울러 지금까지는 편하게 이용되지 못한 장소를 도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아 공유마당 즉 쉐어링 가든으로 조성하여 도민 모두에게 공여하는 장소로 쓰이도록 계획했다. 2022년 정원페스티벌이 개최되는 도청사 전면녹지는 효율적 이용 및 상징성 부여를 위해 전라남도를 상징하는 상징 정원광장으로 계획했다.
        4,200원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프로젝트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저감 숲 조성을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대상지는 전라남도 여수 국가산업단지로 부지면적은 32,550,850㎡이다. 매립지이자 중화학공업단지라는 특수한 여건을 고려하여, 여수산단의 녹지조성 가능지 발굴을 포함한 종합적인 저감 숲 조성 마스터플랜 제시를 최종 목표로 한다. 아울러 산단 입주기업의 사업장 내부에 대한 미세먼지 저감녹지 조성에 대한 방안제시도 포함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수 산단지역과 입주기업의 사업장 내부의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고. 미세먼지 저감 숲 조성사업의 실현가능성 및 녹지조성 효과 등을 근간으로 하여 크게 3단계 사업권역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산단 주변의 자연지형 즉 산지 및 녹지를 연계 활용하여 2개의 녹지 보전·형성축을 계획했다. 북측 녹지축은 산단 내부의 산지 및 도로녹지 등을 연계하는 1차 미세먼지 차단축, 남측 녹지축은 여수시가지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2차 완충기능 목적이다. 미세먼지 저감 숲 조성 마스터플랜은 산단 도로 등 시설배치 및 녹지분포 등 공간구성에 따라 구간 및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여수 국가산단 전 지역이 총 10개 타입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유형에 대해 적용 가능한 미세먼지 저감 숲 및 녹지공간의 조성방법과 식재구조 그리고 저감수종 등을 제시했다. 기본계획은 산단의 도로, 녹지, 구릉지 등 공공영역 즉 사업장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수립하였으며, 그 외 사업장 내부 즉 사적영역에 대해서는 입주기업의 여건 및 주변상황에 따라 선택하고 시도할 수 있도록 공간구성 및 식재수종 선정 등 다수의 계획모델을 제시했다.
        4,200원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포의 관광명소인 전설의 섬 삼학도는 과거 개발의 시대에 매립되어 육지로 변해버린 곳이다. 그런데 이 삼학도를 섬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시도가 21C 환경시대에 시민들의 노력으로 시작 되게 된다. 삼학도 복원화 사업은 지금도 진행 중이며, 부분적으로 공원 및 공공건축물 등은 개 방되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삼학도 공원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 중인 복원화 사업을 포함 한 이용현황 및 공간구성 등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진행된 것이다. 삼학도 원형 복원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섬다움을 느낄 수 있는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였다. 대상지는 목 포 내항과 마주하고 있는 근린공원으로, 면적은 약 454,850㎡이다. 계획추진을 위한 기본방향 은, 1) 삼학도 전설이 꽃으로 피우는 낭만이 있는 안전한 꽃 섬, 2) 어린이와 가족 모두, 1-3세대 가 함께 즐기는 테마가 있는 체험형 공원, 3) 복원된 삼학도의 물길과 숲길을 따라 자연과 사람 이 함께 하는 미래 공존의 숲으로 제시하였다. 계획대상지는 매립으로 이루어진 기존공원 Zone 과 삼학도 원형 복원 Zone으로 크게 구분하였다. 복원된 삼학도는 지역 Identity를 근거로 특화 된 테마를 부여하여 계획하였다. 대삼학도는 ‘학 섬 동산’, 중삼학도는 ‘꽃 섬 동산’, 소삼학도는 ‘꿈 섬 동산’ 으로 공간을 구성하였고, 부여된 이미지가 이용자들에게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그 외에 공원입구 상징 Zone과 목포내항 해안 Zone을 설정하고, 각각의 공간특성 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상호 연계할 수 있는 소공간 및 관련시설 등을 계획 배치하였다. 특히 삼 학도 공원으로 연결되는 매립제방 형태의 도로를 가동식 교량으로 변경하여 삼학도가 섬이라 는 인식과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는 진입교량 조성계획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연구성과로 도출 된 리모델링 계획의 적극적 추진을 통해 삼학도가 다시 목포의 섬으로 되돌아오길 기대한다.
        4,000원
        5.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프로젝트는 목포의 대표 관광지이자 시민들의 수변공원이기도 한 평화광장에서 현재 제기되고 있는 이용 및 구조적 문제점 해결을 포함한 리모델링 계획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평화광장의 최우선 과제인 공간 구조개선을 위해 ‘보차도 및 녹지 공간조정을 통한 무장애 거리 조성’ 을 목표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하였다. 광장과 수변을 단절시키는 차도 폐지, 보차도의 높이차 조정 그리고 차량동선 변경으로 수요부족이 예상되는 주차공간확보 등이다. 다음 단계로 대상지역 전체에 대한 리모델링 계획을 추진했다. 대상지의 역사성 및 위치특성을 살려 특화된 4개의 존(zone)으로 구분하고, 서로 다른 역할 및 기능을 부여하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중심상징 존, 체험 및 동적활동 존, 역사 및 지역문화예술 존, 인접 도시 연계 존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대상지인 평화광장은 20년 전 조성되어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는 공간으로, 당초 시에서는 차도폐지 및 바닥포장 개선이라는 토목사업의 성격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사업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지역 연구자들이 의견을 모아 공간 구조개선 제안 및 광장과 수변공간 전체에 대한 통합적인 리모델링 계획추진을 건의한 결과, 당초의 사업범위를 확대시켜 진행된 프로젝트이다. 따라서 1단계로 목포시의 당면과제를 전제조건으로 우선 해결한 후, 2단계 통상적인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단순한 방식의 공사에 불과했던 토목사업을, 사전 제안을 통해 종합프로젝트 방식의 리모델링 사업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있는 작업이 되었다.
        4,000원
        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테마파크의 조성동향 및 테마선정 경향을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국내 테마파크 108개소를 대상으로 한 조사 분석에서 명백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테마파크의 조성동향 분석에서는 광역시 등 시 단위에서는 테마파크가 비교적 초창기에 만들어졌으나, 2000년 이후에는 조성되지 않는 반면 지역의 도 소재 테마파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늦은 시기에 테마파크가 조성된 지역은 전라도이며, 단위면적 대비 가장 많은 테마파크를 보유하는 지역은 제주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테마선정에 대한 경향분석에서는 1994년까지는 ‘놀이’가 테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2000년 이후에는 ‘놀이’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문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용방식에 대한 분석에서는 1994년까지는 ‘놀이기구 체험’이 주를 이루었으나, 2005년 이후부터는 ‘학습활동 체험’ 및 ‘교육’에 대한 비율이 크게 증가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테마선정시 지역자원의 활용 비율은 25%로 낮게 나타났으며 조성시기와의 연관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라도에서는 타시도와는 달리 지역자원 활용 비율이 61%로 월등하게 높았으며, 국가 및 지자체가 83%의 테마파크를 조성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자원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관리주체와의 관련성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4,000원
        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는 대상이 아닌 시점으로서의 역할이 중시되고 있는 누정의 경관적 역할 및 관리 등에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전라남도 무안군 식영정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영정 주변의 공간구성 및 수목배치 등에 따른 경관변화를 검토한 결과, 부지경계부에 식재되어 있는 작은 수목과 펜스 설치 그리고 주변부 외래수종으로 인한 이미지 변화 및 시야차단에 의한 경관훼손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새로 조성된 초가 쉼터의 부적절한 위치로 인해 시야가 차단되는 것으로 나타나 누정주변의 공간구성요소 배치 등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식영정과 이산마을 그리고 영산강과 주변 산들의 상호 연계성 및 구성요소 변화 등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 식영정으로 접근하는 방식 및 연결동선에 변화가 생겼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4. 무안 식영정의 경우, 주변구성요소의 배치 및 접근동선의 변화에 따라 누정 및 조망되는 경관이 크게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raditional landscape of the Korean tea cultivation area, which has become a tourist attraction as a result of heightened interest in tea culture increa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ild tea cultivation area in the vicinity of Bulhoe temple and Unheung temple in Naju, Jeollanam-do.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hrough field survey and literature analysi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rough literature and related research, tea cultivation in the past was performed around temples in Korea, and existed in a wild form in a place where proper shade is secured. In the analysis of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wild tea plantation is located on the north side of the temple and on the slope of the northwest side of the temple. A wild green tea was grown along the valley to a higher position than the temple. There were two types of cultivation environment and landscape. One is a place with proper shade. In other words, a wild tea grows in the lower part where some shade is provided by a tree. The other is the case where a wild tea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trees, and it ha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lopes in the south and southeast directions.
        4,000원
        9.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ce composition and landscape structure around the village forests in five villages located on the coast of Wando-gun. The research focuses on field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village forests constructed for the protection of villages and cultivated areas in the coastal area of Wando-gun, which is the study area,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ountains behind the forests. Through the analysis of landscape elements, it was concluded that two types of layouts exist. Regarding the space composition around the village forest on the coas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type A arranged in the order of sea → coast → village forest → village → cultivated land → rear mountain, and a type B arranged in the order the sea → coast → village forest → cultivated land → village → cultivated land → rear mountain. In the analysi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the elevation angle from the coast to the top of th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forest was measured. Accordingly, elevation angles of approximately 16°–17° in the type A arrangement and 7°–9° in type B arrangement were determined.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pace composition and placement of the village forest with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vary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elevation (changes in elevation angle) from the coast to the rear mountain.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