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명나방의 유충성장(幼蟲成長)에 따른 탄수화물대사(炭水化物代謝)의 변화(變化) 및 혈림프와 충체(蟲體)내 항상성(恒常性)을 구명(究明)키 위해 Glucose, Trehalose 그리고 Glycogen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헐림프내 Glucose는 3령유충에서 최고함량(最高含量)을 나타냈으며 4령유충에서 급격히 감소(減少)하다가 종령유충으로 성장(成長)하면서 다시 증가(增加)하였고, 충체(蟲體)에서는 유충기(幼蟲期) 성장과정동안 서서히 감소(減少)하는 현상(現象) 나타냈다. Trehalose는 혈림프에서 유충기의 성장과 더불어 증가하면서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충체(蟲體)에서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Glycogen은 혈림프에서 Trehalose와 같은 패턴으로 증가하였으나, 충체(蟲體)내에서는 Trehalose와 반대현상(反對現象)을 나타내면서 증가하였다.
        4,000원
        2.
        201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코끼리 흑마늘의 분말화를 위해 추출액과 말토덱스트린을 비율 별로 첨가한 후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제조 및 저장 조건 별로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말의 용해도는 90.87-96.93%으로 5:5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색깔의 경우 말토덱스트린 함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으나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입도는 7:3 처리구를 제외하고 말토덱스트린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분산성은 0.54-0.63 범위에서 나타났다. 포화 염용액으로 다른 상대습도를 조성하여 25, 35℃에서 분말을 각각 저장했을 때 평형 수분함량은 4:6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단분자층 수분함량을 산출하기 위해 GAB 식과 BET 식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조건에서 0.943-0.997로 높은 R2값을 보였다. 여러 처리구 중 4:6 처리구가 단분자층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다른 처리구들은 온도나 적용 식에 따라 다른 추세를 보였다. 또한 등온 흡습 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Caurie, Halsey, Kuhn, Oswin, Mizrahi 식을 사용하였는데, 그 중 Halsey, Kuhn 식이 높은 R2 값과 낮은 편차를 보여 적합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