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 유통 중인 건조 인삼류(백삼 24점, 홍삼 26점) 포 장 제품을 수집하여 곰팡이 발생 조사를 수행하였다. 백 삼과 홍삼은 각각 50%와 46%의 시료에서 곰팡이가 검출 되었고 검출 시료의 평균 곰팡이 오염도는 각각 0.5와 0.2 log10 CFU/g이었다. 백삼에서는 Penicillium polonicum, P. chrysogenum, Rhizopus microsporus가 각각 18.2%로 우점하 였으나 홍삼은 Aspergillus spp.이 87.6%로 우점하였으며 이 중 A. chevalieri가 50.0%로 가장 높았다. 이 중 독성 종으로 알려진 P. polonicum, P. chrysogenum, P. melanoconidium, A. chevalieri 균주의 citrinin 독소 생성 가능성을 분석한 결 과, 13 균주 모두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 결 과는 조사한 시료의 곰팡이독소 오염 위험은 매우 낮지만, 건조 인삼류에 곰팡이 오염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4,000원
        2.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싹삼의 곰팡이 발생을 조사하기 위해 18점의 유통중 인 새싹삼을 수집하여 곰팡이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전체 시료의 총 곰팡이 발생빈도는 평균 113.3-174.1%였고 Penicillium spp.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다. 곰팡이 발생 빈도는 이끼가 잎, 줄기, 뿌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잎과 줄기에서는 Penicillium spp.이, 뿌리에서는 Fusarium spp.의 발생이 높았으며 각각의 우점종은 P. olsonii와 F. oxysporum으로 동정되었다.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해 Fusarium spp.은 총 9개 종, Aspergillus spp.은 A. westerdijkiae와 A. favus, Penicillium spp.은 총 11개 종이 동정되었다. 곰팡이독소 생성 종으로 알려진 25균주의 독소형을 PCR로 검정한 결과 19점의 균주에서 각 독소형이 확인되었다. 이 중 A. flavus 2점과 A. westerdijkiae 11 점이 aflatoxin과 ochratoxin A을 각각 생성하였고 일부 균주는 높은 독소생성능을 보였다. 이 결과는 새싹삼 생산에 있어 곰팡이 발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4,200원
        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oil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Chinese bell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soil chemical properties of 12 collected soil samples from 6 cultivated fields in Okcheon, Chungbuk province in August. 2017 were analyzed. The soil pH was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4.61 to 5.25 at all cultivation years and E.C (Electric Conductivity) and T-N (Total Nitrogen) of the cultivation year were not significant. Available P2O5 was higher than the average for medicinal crops and P. grandiflorum in Korea and C.E.C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inconsistent for each cultivation year. In particularly, it was validated that the content of exchangeable cations K, Ca, Ma, and Na in this experiment was similar to that of C.E.C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years, because C.E.C ha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exchangeable cations. For the available P2O5, as affected by trans-planting, 5Y-NT-H (cultivated 5 years and non-transplanted) had 58 mg/kg, while 5Y-T-H (cultivated 5 years and transplanted) had 246 ㎎/㎏. The soil pH was found to be lower (acidic) in diseased soils than healthy soils. E.C was confirmed to be was higher in diseased soils than healthy soils except for the one cultivated for 2 years. The contents of T-N and available P2O5 were higher in diseased soil except for the one cultivated for 5 years and 11 years. The exchangeable cation K and Na tended to be higher in diseased soils rather than that in healthy soils, and the exchangeable cation Ca and Mg contents were higher in healthy soils than in diseased soils. The C.E.C of the soil was lower than that of healthy soils in all of the years except for the one which was cultivated for 5 years (transpla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