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arhizium은 대표적인 곤충병원성 진균 중 하나로,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한 곤충에게 병원성을 일으키는 폭 넓은 기주범위를 형성한다. 이들이 주로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destruxins (DTXs)이라는 2차 대사산물은 살충 활성 뿐만 아니라 항바이러스, 항증식, 항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능이 연구되고 있어, 해당 물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살충 물질로서의 DTXs는 여러 곤충에 있어 병원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해충 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일으킴과 동시에, 화학 살충제 저항성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목화진 딧물에 대해서는 아직 DTXs의 역할이 연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화진딧물에 대해 곤충병원 성 진균 Metarhizium spp.의 병원성 발현에 DTXs가 미치는 역할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qPCR을 활용하여 진균 처리 후 목화진딧물 사망 시간과 관련하여 충체 내 DTX 합성효소의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ycoviruses are a group of viruses that infect filamentous fungi. While most hosts infected with mycoviruses do not show any symptoms. In some cases, mycoviruses induce various phenotypic changes include alterations in morphology, drug resistance, pathogenicity, virulence, sporulation, and growth. Entomopathogenic fungi are one of the integrated pest management agents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insecticides. Mycoviruses have the potential as supportive agent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fungi. Studies about mycoviruses themselves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hosts, especially entomopathogenic fungi, are needed to realize their full potential. In this work, the sequence of the dsRNA element isolated from the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pinghaense 4-2 strain was determined. Through this study, we report the sequence of a dsRNA virus isolated from the Metarhizium pinghaense for the first time. In further studies, the ORF of the mycovirus that induces a phenotype change in the host will be researched.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마이코바이러스는 곰팡이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로 자낭균류, 담자균류 및 난균류에서 주로 발견되며 일부 의 경우 곰팡이의 표현형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토양 샘플에서 분리된 65개의 자낭균류 및 접합균류 균주의 전체 핵산을 추출하고, 전기영동을 통해 바이러스 특이적 밴드를 스크리닝 하였다. 스크리닝 결과 65개의 균주 중에서 Tolypocladium spp. 균주 2개와 Marquandomyces marquandii 균주 1개에서 바이러스 특이적 밴드를 발견하였다. 그 후, Cellulose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double-stranded RNA 를 분리하고 DNase I 및 S1 Nuclease 처리를 통해 DNA와 single-stranded RNA를 제거하여, Tolypocladium sp. 균주 1개와 Marquandomyces marquandii 균주에서 발견한 특이적 밴드가 dsRNA임을 확인하였다. 추후 virus-free isogenic line을 확보하여 virus 유무에 따른 표현형 변화를 확인하고, 마이코바이러스와 곰팡이 간의 상호작용에 관해 연구할 계획이다.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hids are well-known insect pests that, due to their feeding habits, affect various crops' productivity and marketability. Additionally, they cause significant damage worldwide as vectors of viruses. Chemical pesticides are widely used to control these agricultural pests. However, due to resistance to various chemical pesticides, pest control is becoming difficult in agricultural environments. Entomopathogenic fungi such as the genus Metarhizium and Beauveria are being extensively researched as alternatives to these chemical pesticides. In this study, the mycological properties of isolated from soil Metarhizium pemphigi IPBL-H and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this strain against Myzus persicae and Aphis gossypii were evaluated for potential of development as a biopesticide.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의 나무주사는 살선충제를 중심으로 실시되어 왔으며,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방제는 주로 항공방제나 지상방제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나무주사를 통하여 매개충 (솔수염하늘소)을 방제하기 위한 연구로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 약제의 나무주사시 솔수염하늘소의 약효발현농도, 처리 후 기간별 효과(2017년~2018년)를 검토하였다. 실내 발현농도 시험에서는 Acetamiprid, Thiamethoxam LC50 value는 각각 0.102ppm, 0.083ppm 으로 나타 났으며, 야산(포장)에서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 처리구의 100.0% 치사 소요일 수는 처리 90일 후 11.0일, 9.4일, 처리 360일 후 11.6일, 10.0일로 나타나서 두 약제 모두 3월 처리시 다음해에 발생하는 매개충 (솔수염하늘소) 방제까지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노랑총채벌레는 저항성 해충군이 가지고 있는 크기가 작고 산란수가 많으며 세대기간이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동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령기가 혼재하고 있으며, 꽃과 잎 등 식물체뿐만 아니라 토양에서 생활환을 완성하는 복잡한 생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총채벌레의 특성으로 인하여 시설 내 방제는 어려운 실정이며, 동일계통의 작용기작을 갖는 약제들의 단조로운 패턴의 약제사용으로 인하여 그 방제효과는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약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처리별 효과 검증을 통하여 방제체계를 제안하였다. 우선 실내에서 약제별 약충과 성충에 대한 처리방법별 효과 검토를 통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가 높지 않은 초기에 사용이 가능한 약제와 총채벌레 밀도가 높은 시기에 처리할 수 있는 약제를 선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포장에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조합별 효과 검토를 하였다. 또한 본 시험결과들을 기초로 ㈜경농에서는 3가지 이상의 다른 작용기작의 약제를 밀도가 높을 경우 3~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연속살포하는 3!3!3! 총채벌레 관리프로그램을 운영중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는 중이다.
        7.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low seedling growth rate and nodulation failure of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L.) has been limited its good establishment to pastures. The experiment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moval of cotyledon and unifoliolate on the shoot, root growth,
        4,000원
        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blue/white vinyl for ginseng cultivation greenhouses in different regions in an effort to develop a stable ginseng cultivation technology and contribute to popularizing ginseng greenhouse farming. Methods and Results : For comparison purposes, ginseng plants were cultivated in the traditional shading and greenhouse shading facilities.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greenhouse shading facilities during the period of May through October was 20.5℃ in Namwon, 21.4℃ in Jinan, and 23.3℃ in Iksan, with Iksan recording a 1.9–2.8℃ higher average temperature, presumably due to its location in a plain area with low elevation. The average temperatures in the traditional shading facilities ranged between 22.9℃ and 25.7℃, 2.4–2.6℃ higher compared with the greenhouse shading facilities. As for the incidence of disease and pest, as low as 0.1–0.3% of the plants grown under greenhouse shading were infected with Colletotrichum dematium, Alternaria panax, and Rhizoctonia solani, whereas much higher incidences were noted in the control plants, with 3.3–11.3%, 4.7–17.0%, 0.1–0.5%, and 3.0–5.7% infected with Colletotrichum dematium, Alternaria panax, Rhizoctonia solani, and Phytophthora cactorum, respectively, throughout the regions. Heat injury occurred only in Iksan (0.3%) in the case of greenhouse-shaded plants, whereas the control plants suffered from much severer heat injury: 3.5% in Namwon, 10% in Jinan, and as high as 35.3% in Iksan. As for the roots, Namwon outperformed other regions in root length (29.7 ㎝), taproot length (8.7 ㎝), and taproot diameter (25.3 ㎜), and also the root fresh weight (53.4 g), followed by Jinan (48.7 g) and Iksan (40.4 g). In yield as well, the greenhouse in Namwon outperformed other regions with 1,297㎏/10a, followed by Jinan (1,183 ㎏) and Iksan (932 ㎏). The effect of greenhouse blue-white vinyl shading on yield by region was analyzed to increase of 177% in Namwon, 209% in Jinan, and 173% in Iksan with respect to their respective traditional shading facilities. Conclusion : The suitability of the blue/white vinyl shading in ginseng cultivation greenhouses was tested experimentally in three different regions. As a result, greenhouse-shaded ginseng plants were found to be much less affected by heat injury compared with traditionally shaded ginseng plants, resulting in much higher yields in all regions. This allows the conclusion that greenhouse ginseng cultivation can contribute to more stable ginseng yield and popularization of ginseng cul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