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야생조수(황새)보호지역에 사는 주민들의 환경적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문화인류학적 접근방법의 하나인 심층인터뷰 방식에 의존했으며, 연구대상지는 경상북도 금위군 효령면 금매리이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환경적 인식에 대한 문화적 구조를 밝혀내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황새에 대한 생태적, 긍정적, 부정적, 문화 생태적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주민들은 황새의 먹이공급처, 종의 변화, 개체군, 이주, 생육, 서식처 그리고 예측 등의 생활에 대하여 예상을 넘어설 만큼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두 번째는 주민들의 긍정적 존재감과 마을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세 번째는 소음, 악취 그리고 수목에 대한 피해 등 환경적 불편함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이한 조수의 이동을 통해 주민들이 하루, 일년, 계절의 시간 변화를 인식하는데 매우 민감했다. 또한 조수의 이동 현상을 통해 그들은 계절에 대한 일기를 미리 예측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황새 서식지에 대한 문화생태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황새의 존재적 인식, 위계적 인식, 의미부여적 인식 등으로 구분하여 황새의 서식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비록 황새가 환경문제를 어느 정도 유발하고 있지만 마을 공동체의 중요한 일원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관해석에서 기호학은 매우 유용한 정보전달의 도구이며 도상기호(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도상기호를 통해서 가로의 간판에서 표출되는 항구의 가로경관의 특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그리고 가로 의 간판에 나타난 기호적 경관의 특성을 통해서 경관을 직접 관리하거나 경관정책을 제시하는 이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지는 경북 영덕군 강구항구이며, 연구방법은 가로의 간판에 나타난 도상기 호를 전수 조사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구항구의 가로 간판에 나타난 도상기호의 수는 모두 169개이며, 2차원 도상기호와 3차원 도상기호로 구성되어 있고 도상기호의 형태은 모두 34종이다. 그 중에서 가 장 많이 나타난 도상기호를 순서대로 보면 영덕대게 36.7%, 생선(회) 19.6%, 항구(배) 7.2%, 사람 얼굴 4.9% 찻잔 4..3%, 꽃 3.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평면적 도상기호의 구성비는 전체 도상기호의 구성비와 유사하나 3차원 도상기 호의 빈도는 모두 15개이며, 유형은 영덕대게와 생선(회) 2종류로 영덕대게가 93%, 생선(회)이 7%다. 이러한 도상기호는 이 지역 특산물인 영덕대게와 생선(회)을 표현한 것으로 이런 현상은 매우 흥미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상기호를 통한 강구항구의 가로경관의 특성은 특산물을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가로경관에 3차원적 도상기호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다. 또한 강구항구 가로의 도상기호를 유형화하면 동식물, 자연, 음식물, 생활서비스, 추상적 유형 등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주로 관광객들을 위한 가로와 인근 주민들을 위한 가로에서 표출되는 도상기호가 다른 양상으로 표출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가로의 도상기호는 해당 지역 주민들의 삶을 한마디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