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반도 북방농업지대에서 발생하는 6종 벼 주요해충들의 발생 시기를 곤충 발육모델에 근간하여 추정하였다. 대상 해충들의 발생 시기를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월동 해충들의 발생 시기는 지역 간 차이가 뚜렷하였고, 한반도 북부지역 동북쪽 지역 및 동해안 북부 지역으로 갈수록 발생시기가 늦어졌다. 6-8월 사이 해충 발생 시기는 비래해충 1세대 성충의 발생시기와 같이 지역 간 차이가 적었고, 8-9월에는 지역 간 해충 발생 시기에 있어 차이가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한반도 북방농업지대에서 동북지역, 동해안북부, 북부내륙, 북부고산 지역에서의 벼 해충 발생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평강 및 양덕을 제외한 북방지역 동해안남부, 수양산이남·이북지 역은 국내 경기·강원 북부지역에서 발생하는 벼 해충들의 특징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경기도, 강원도 북부 8개 군과 한반도 북방 유사지역인 연길과 단동에서 벼, 옥수수, 콩, 감자, 맥류포장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을 조사하였다. 국내 북부지역의 벼에서는 벼물바구미 등 4종, 옥수수에서는 조명나방과 멸강나방, 콩에서는 진딧물 등 7종(콩나방은 연천의 1개 포장만), 감자와 밀에서는 진딧물이 발생하였다. 북방 유사지역에서의 해충 발생은 국내 북부지역과 유사하였으며 벼에서는 이화명나방, 콩에서는 잎벌레류와 들명나방, 감자에서는 가류이류와 큰28점박이무당벌레, 밀에서는 진딧물과 멸강나방이 발생하였다. 단동에서 이화명나방, 조명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등이 페로몬 트랩에 의한 유살수가 많았고, 콩나방은 적은 량이 유살되었다.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하여 벼멸구, 흰등멸구의 발생세대를 추정한 결과, 벼멸구는 7월 상순 비래 후 2세대 성충이 서해안에서는 9월 중순, 동해안에서는 9월말에 나오는 것으로 계산되었으나 그 외 북부지역에서는 발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벼멸구 비래량이 평년 수준일 경우 고사피해는 나오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흰등멸구는 서해안과 동해안에서는 3세대, 내륙에서는 1-2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ationwide occurrence of Bemisia tabaci Q biotype was identified from 2005 May to 2007 Dec. in total 28 cities/counties of 9 provinces such as Goyang (Kyung-gi), Gangnung (Gang-won), Jincheon (Chung-buk), Buyeo (Chung-nam), Seongju (Kyung-buk), Geoje (Kyung-nam), Bukjeju (Jeju). Host plants of the scale of B. tabaci Q biotype were over 15 crops of tomato, sweet pepper, hot pepper, eggplant, etc. and total 12 species of weeds such as Veronica persica, Ipomoea lacunosa, Conyza sumatrensis, I. hederacea, Xanthium canadense, Humulus japonicus, Boehmeria nivea, Artemisia vulgaris, Paederia scandens, Acalypha austeralis, Brassica juncea, Rumex crispus. For molecular identifying Bemisia tabaci B and Q biotypes, and Trialeurodes vaporariorum, for which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morphologically, sequences of mitochondrial 16S rDNA and CO I (Cytochromoxidase I) gene were analyzed and restriction enzymes were selected for biotypespecific cleaved bands. As the results, Hinf I for 16S rDNA and Vsp I for CO I gene made specific band patterns for the B and Q biotypes in gel electrophoresis. Thus these methods were able to identify those biotypes and species without DNA sequence analysis. Populations of the Q biotype were collected in each regions of Korea from 2005 to 2007, and they were genetically compared using CO I gene sequences. Thus the populations were divided by three different groups which were introduced over 3-4 times before 2007 from different population sources. Geoje and Jeju were suggested as the first regions of introduction. Especially the populations in the first introduced regions were highly homologous with the Q biotype of Japan. In addition, infection pattern of secondary symbionts in populations of the B and Q biotypes in Korea were different from the Israeli populations. Thus it is suggested that Japan is the main source of B. tabaci Q biotype introduced to Korea. In addition, populations of the both of B and Q biotype in Korea were infected by Haemiltonella, which is more effectively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tomato yellow leaf curl begomovirus (TYLCV). Therefore it is needed to monitor continuously if the outbreak of begomovirus vectored by B. tabaci. In thi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population of B. tabaci Q biotype in weed plants near greenhouse was introduced to crop plants in greenhouse. Therefore we understand that weed control is important to inhibit recurrence of B. tabaci in greenhouse. Three species of begomovirus, sweet potato leaf curl virus (SPLCV), tobacco leaf curl virus (TLCV), and TYLCV, were reported after introduction of B. tabaci in Korea. Especially Korean government removed all plants in the first TYLCV-occurred greenhouse in 2008. Multiplex PCR diagnosis between TLCV and TYLCV was developed for the more rapid and accurate monitoring. TLCV and TYLCV strains occurred in Korea were highly homologous with strains of Japan. Therefore these results support our suggestion that Japan is the main source of B. tabaci Q biotype introduced to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