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report here the new species, Aphaenogaster koreana sp. nov. first fossil record of alate reproductive female (gyne) Aphaenogaster from Eastern Palaearctic region on the basis of forewing venation and other external morphologies. Single fossil specimen was discovered from the Duho Formation of the Middle Miocene (c.a 15 Ma), Pohang, Republic of Korea. For accurate identification, we selected extant Aphaenogaster species for reference and compared wing venations and body measurements to new species. Furthermore, we suggest previously recorded Aphaenogaster species from Miocene Grubstake Formation of Alaska (UAF-GS23, UAF-GS24) removed from the genus and remained in unplaced species in the Myrmicinae (incerta sedis). Because of similarity between genus Aphaenogaster and Paraphaenogaster which shares morphological similarities, we provide comparison between the new species and the other known gyne Aphaenogaster and Paraphaenogaster. Diagnostic characters for gynes of Aphaenogaster are also provided
        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ne species of fossil plants were described based on the new material collected from the Hasandong Formation. They are as follows: Thallites yabei, Onychiopsis elongata, Cladophlebis denticulata, C. shinshuensis, C. (Eboracia ?) lobifolia, C. (Klukia ?) koraiensis, Brachyphyllum japonicum, Elatocladus tennerima, and Taeniopteris ? sp. cf. T. auriculata.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Hasandong flora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Nakdong flora. This means that both floras might have flourished under subtropical warm arid climate. This flora contains both the Tetori-type and Ryoseki-type floras. It is considered that the Hasandong flora is a member of the Mixed-type floras that existed in eastern Eurasia during the Late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time.
        4,600원
        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항시 마이오세 두호층에서 2개의 신생대 어류 화석들이 발견되었다. 두호층에서 발견된 이 어류 화석들은 다 음과 같은 근거로 도다리속으로 동정되었다. 첫째, 앞쪽 등지느러미가 두개부 위까지 연장되어 뻗어있다. 둘째, 두개골 에서 안와는 모두 오른쪽에 몰려있는 비대칭성을 갖는다. 셋째, 낚시 바늘 모양의 미설골을 지닌다. 넷째, 미설골의 좌 골부가 꺾여있다. 다섯째, 후의쇄골이 존재한다. 여섯째, 척추체의 개수가 27개를 넘는다. 일곱째, 첫 번째 뒷지느러미 담기골이 연장되어 있다. 여덟째, 미설골의 내연부가 ‘c’자 형태를 갖는다. 아홉째, 분문돌기가 작거나 거의 없다. 열째, 몸에 여러 반점들이 존재한다. 도다리속 어류 화석은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것이다. 두 표본은 두개골의 비대 칭성과 납작한 정도에서 해부학적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가자미과 어류의 독특한 개체발생 단계를 나타내는 데, 그들 은 표영성 생활 양식에서 저서성 생활 양식으로 전환할 때 위와 같은 해부학적 차이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