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2.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ptostrobus myeongamensis sp. nov. is newly described from the well-preserved but broken material occurring in the Upper Triassic Amisan Formation of the Nampo Group in Korea.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its lateral appendages of cone axis, each consisting of a rounded capsule and small scale leaf, and by its cone base covered with small scale leaves, the same size as in cone axis. This species is the first record from the Mesozoic strata in Korea.
        4,000원
        2.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농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 8품종(얼룩찰1호, 흑점2호, 일미찰, 흑진주찰, 찰옥4호, 미백2호, 대학찰)과 수수 7품종(황금찰, 앉은뱅이수수, 목탁수수, 소담찰, DS202, 남풍찰, 동안메)에서 나방류 발생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명나방 성충은 년 3회 최성기를 보였고 담배나방류 성충들은 3-4회 최성기를 보였다. 또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및 수수의 잎과 줄기 피해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수수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8월 중순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미흑찰, 얼룩찰1호, 일미찰, 흑점2호, 미백2호 등 옥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윤환밭과 연속 밭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DS202 품종(83%와 89%)을 제외한 나머지 6종 수수 품종들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연속밭에서 높거나 비슷하였다(50-92%). 옥수수의 나방 유충에 의한 이삭 피해율은 5%(찰옥4호)에서 38%(흑진주찰)였는데, 대학찰 품종은 답전윤환밭(33%)에서 연속밭(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피해를 입었다. 답전윤환 수수 포장에서 소담찰(94%)과 DS202(82%)가 높은 피해율을 보였고, 연속밭에서는 7개 수수 품종 모두 78% 이상의 피해율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와 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평균 피해율과 평균 침입공수 간에는 각 정의 상관관계(옥수수 r=0.69윤환밭, 0.95연속밭; 수수 r=0.93윤환밭, 0.97연속밭)를 보였다. 또한 수확 후, 유기농 윤환밭 및 연속밭 포장에서 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8품종들과 수수 7품종들의 평균 피해율과 이삭무게 또는 천립중(g) 간에 부의 상관관계(옥수수 r=-0.38윤환밭, -0.49연속밭; 수수 r=-0.70윤환밭, -0.57연속밭)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유기농 옥수수 및 수수 재배포장에서 나방류의 관리가 수량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3.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from unripened and ripened fruit (Rubus coreanus Miq.). 25% to 75% ethanol extracts of unripened and ripened fruits were similar to extract yield respectively. Yield of ethanol extract of ripened fruit were approximately 3 times higher than that of unripened frui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180.04±0.41 mg/g) and total flavonoid (50.43±0.81 mg/g).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of unripened fruit were about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ripened fruit. IC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BHA and α-tocopherol showed 13.19±0.21 and 18.16±0.23μg/ml, 4.25±0.04μg/ml and 5.56±0.10μg/ml respectively, bu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23.85±0.10μg/ml and 7.34±0.07μg/ml among other all extracts. IC50 values of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1.04±0.04μg/ml and 7.21±0.13μg/ml among other all extracts respectively. Specifically,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has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ethanol extracts, it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bioactive source for health functional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