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1.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변형된 이중 에피층에서 두 가지 종류의 반원 전위 루프 (60˚및 쌍격자 전위)의 생성 속도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모델링 시, 에피층 표면에서 발생하는 결함과 이곳에 집중되는 응력 효과를 고려하였으며, Matthew의 식을 발전시켜 에피층 두께에 따른 잔류 변형율을 변수로 사용하였다. 모델링을 통한 계산 결과에 의하면, 응력 집중 현상은 고변형된 이종에피층에서 전위 및 결정 결함 현상을 설명하는 데 매우 중요하였다. 또한,본 연구를 퉁하여, 응력 집중 현상이 에피층 성장 초기에 생성되는 전위 형태를 결정하는 주요한 인자 중 하나임을 단면 투과 전자 현미경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nociceptive profiles of Viola tricolor L. (V. tricolor L.) extract were examined in ICR mice. V. tricolor L. extract administered orally (200mg/kg) showed an antinociceptive effect as measured by the tail-flick and hot-plate tests. In addition, V. tricolor L. extract attenuated the writhing numbers in the acetic acid-induced writhing test. Furthermore, the cumulative nociceptive response time for intrathecal (i.t.) injection of substance P (0.7 μg) was diminished by V. tricolor L. extract. Intraperitoneal (i.p.) pretreatment with yohimbine (α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attenuated antinociceptive effect induced by V. tricolor L. extract in the writhing test. However, naloxone (opioid receptor antagonist) or methysergide (5-HT serotonergic receptor antagonist) did not affect antinociception induced by V. tricolor L. extract in the writhing test. Our results suggest that V. tricolor L. extract shows an antinociceptive property in various pain models. Furthermore, this antinociceptive effect of V. tricolor L. extract may be mediated by α2-adrenergic receptor, but not opioidergic and serotonergic recep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