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2.
        200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dentify genes implicated in the control of pluripotency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we analyzed expression profiles of genes derived from mouse morulas, blastocysts, embryon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and uterus tissue using cDNA microarray. Comparative analyses of their expression profiles identified putative clones that expressed specifically in specific samples or not in a specific sample.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se condidate clones was analyzed using RT-PCR and non-radioactive in situ hybridization. Functional annotation of these clones on pluripotency and stem cell plasticity is in ongoing. These studies may further our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the stem cells and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many facets of mammalian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4,000원
        24.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 온난화가 심화됨에 따라 도시지역에서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의 변동성은 IPCC 5차 보고서(2014)에서도 기술되어 있으며 기후변화에 의한 강수 패턴의 변화, 수문시스템의 변화 등 수자원 불확실성의 증가에 대하여 시사하고 있다. 최근 서울이나 부산과 같은 대도시의 관로의 수용 범위를 초과하는 국지성 호우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초래하였다. 도시지역의 침수는 1차적으로 우수관거 통수능부족에 의한 내수범람이 발생하고 방류구와 인접한 하천의 외수범람이 발생한다.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는 인명피해 뿐만 아니라 도로, 교량, 지하공간 침수 및 파괴를 복구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동반하기 때문에 농촌, 산지 지역에 비해 피해량이 크다. 또한 도시개발에 인한 불투수면적 증가, 강우 유출시 출구부까지의 짧은 도달시간, 배수시설의 통수능부족 등 다양한 원인이 침수피해를 증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에 취약한 지역을 선정하고 XP-SWMM을 이용하여 내수침수 모의를 실시하였다. 또한 시범지역에 관로 개량, 우수저류지 설치, 우수펌프장 설치와 같은 홍수방어대안을 적용하여 각각의 침수모의를 실시하였으며 해당유역을 격자별로 분할하여 대안별 침수데이터를 추출하였다. 또한 격자별로 가장 적합한 구조적 홍수방어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침수시간, 최대침수심, 구조물 설치비용을 평가요소로 이용하였으며 MCDM 기법 중 하나인 Compromise Programm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유역이라도 지리적 여건에 따라 대안의 선호도가 다르다는 점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Spatial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을 적용하여 지역특성을 고려한 홍수방어대안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5.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9,645.5 km²)을 대상으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HadGEM3-RA RCP 4.5와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간(2020s: 2010~2039, 2050s: 2040~2069 ,2080s: 2070~2099 )의 지하수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SWAT 모형의 검․ 보정은 11년(2005~2015)동안의 유역내 2개 댐지점(대청댐, 용담댐)의 일별 유입량 및 저수량, 5개 관정지점(JSJS, OCCS, BEMR, CASS, BYBY)의 일단위 지하수위 관측자료, 3년 5개월(2012년 8월~2015년 12월) 동안의 3개 보지점(세종보, 공주보, 백제보)의 일별 유입량 및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2개 댐의 유입량 및 저수량 검보정 결과, Nash-Sutcliffe 모델효율(NSE)은 각각 0.57~0.67, 0.87~0.94, 결정계수(R2)는 각각 0.69~0.73, 0.63~0.73의 범위를 보였으며, 3개 보의 유입량 및 저수량의 NSE는 각각 0.68~0.70, 0.94~0.99, R2는 각각 0.83~0.86, 0.48~0.61로 검보정 되었다. 5개 지점의 지하수위에 대한 R2는 0.53~0.61이었다. 유역 전체의 미래 기온은 기준년도(1976~2005)대비 2080s RCP 8.5 시나리오에서 최고 4.3°C 상승하고 강수량은 6.9% 증가하였으며, 미래 지하수위는 5개 지하수위 관측지점 중 금강 상류 3개 지점(JSJS, OCCS, BEMR)에서 각각 –13.0 cm, -5.0 cm, -9.0 cm 감소하였고, 금강 하류 2개 지점(CASS, BYBY)에서는 각각 +3.0 cm, +1.0 증가하였다. 미래 지하수위는 유역 내 강수량의 계절별 공간적 편차에 따른 지하수 충전량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2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호우 및 태풍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강우의 예측과 홍수량 산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점 및 레이더 강우 시 ․ 공간적 오차를 포함하고 있고, 유출 모형에 의한 유출수문곡선 역시 보정을 실시하더라도 관측유량과 오차를 가지고 있어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률론적 강우 앙상블을 생성하여 강우의 불확실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출 결과를 통해 수문 모형의 불확실성을 확인하였고, 블랜딩 기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통합된 유출 수문곡선을 제시하였다. 생성된 강우앙상블은 강우강도 및 지형적인 영향으로 레이더가 과소 관측이 될 때, 강우 앙상블의 불확실성이 큰 것을 확인하였고, 블랜딩 기법을 적용하여 산정된 최적 유출 수문곡선은 유출모형의 불확실성을 크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정확한 홍수량 산정 및 예측을 통해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7.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monitor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embryos, larvae, and juveniles of Oryzias latipes (Temminck and Schlegel), Oryzias latipes was caught in river of Shinduck-dong, Yeosu-si, Jeollanam-do, on May 2011,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Ichthyology laborator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blastodisc step was the first level for natural spawning. The optic vesicle, Kupffer's vesicle, myotome began to appear 75 hours 57 minutes later. After blastodisc development, the pectoral fins were made at 143 hours 37 minutes and the tail was separated started at the same time. Hatching was observed at 167 hours 27 minutes after blastodisc. The total length of the hatched larvae was 4.95~5.10 mm (mean, 5.01 mm), the mouth and anus were opened. Larvae used yolk completely after 3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larvae was 5.45~5.56 mm (mean, 5.52 mm) after 8 days after hatching, and appeared the stems for tail. The stems pectoral, anal fin were showed after 14 days and the stems dorsal, ventral fin were appeared after 19 days. For 35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of larvae 13.95~15.30 mm (mean, 14.64 mm), and at this time, fins and body were transferred like the adult Oryzias latipes.
        28.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sh larvae are immediately exposed to microbes from hatching to maturation of their lymphoid organs, therefore effective innate mechanisms is very important for survival. However, the knowledge of the development of immune system in fish is limited and in demand now. In vertebrates, recombination-activating gene 1 (RAG-1) and immunoglobulin M (IgM) have been considered as very useful markers of the physiological maturity of the immune system.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he both genes was assessed throughout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s of olive flounder larvae (5-55 dph) and used as markers to follow the development of immune system. RAG-1 and IgM mRNA expression was detectable at 5 dph and remained so until 55 dph. These patterns of expression may suggest that the olive flounder start to develop its function around 5 dph. Tissue distribution was found that both genes mRNAs are only expressed in the immune-related organ such as spleen, kidney and gill. The early detection of IgM mRNA led to the investigation of its presence in oocytes. Both RAG-1 and IgM mRNA transcripts were detected in unfertilized oocytes, suggesting that they are maternally transferred.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such a phenomenon remains to be investigated.
        29.
        201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an experimental approach to evaluate the effective doses of space radiations at high-altitude by combining the measured data from the Liulin-6K spectrometer loaded onto the air-borne RC-800 cockpit and the calculated data from CARI-6M code developed by FAA. In this paper, 15 exposed dose experiments for the flight missions at a highaltitude above 10 km and 3 experiments at a normal altitude below 4 km were executed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2012. The results from the high-altitude flight measurements show a dramatic change in the exposed doses as the altitude increases The effective dose levels (an average of 15.27 μSv) of aircrew at the high-altitude are an order of magnitude larger than those (an average of 0.30 μSv) of the normal altitude flight. The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measure dose levels and the calculated dose levels and those were similar each other. It indicates that the annual dose levels of the aircrew boarding RC- 800 could be above 1 mSv.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roper procedure to manage the exposed dose of aircrew is required for ROK Air Force.
        30.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examine a total of 16 dipolarization events that were observed by THEMIS spacecraft in space close togeosynchronous orbit, r < ~ 7 RE. For the identified events,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ma flows and associatedbubbles as defined based on pV5/3, where p is the plasma pressure and V the volume of unit magnetic flux. First, we find thatthe flow speed in the near-geosynchronous region is very low, mostly within a few tens of km/s, except for a very few events forwhich the flow can rise up to ~200 km/s but only very near the dipolarization onset time. Second, the bubble parameter, pV5/3,decreases by a much smaller factor after the dipolarization onset than for the events in the farther out tail region. We suggestthat the magnetic dipolarization in the near-geosynchronous region generates or is associated with only very weak plasmabubbles. Such bubbles in the near-geosynchronous region would penetrate earthward only by a small distance before theystop at an equilibrium position or drift around the Earth.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