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ield losses due to diseases and insect pests were mentioned and emphasized the efficiency of resistant cultivars in curving the yield losses and increasing chemical efficiency. Present status of resistance breeding for blast, bacterial leaf blight viruses, brown planthopper and white backed planthopper were introduced and the resistance sources for those are discussed. Breeding strategies for above items were presented. Specially for the blast resistance, discussions were made in some detail. With brief future prospects of resistance breeding in Korea, a suggestion was made for pathologists to make clear about whether the blast spores will be brought from mainland China as we see with Bph and Wbph or not.
        4,200원
        4.
        198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pal에서 도입된 수도 'Gamadi' 품종은 Gamadiness 특성(구내성숙성)의 유전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연구에 공시된 표식인자들 즉 제 I 연관군의Cl, nx, Pla, 제III연관군의 Pn, Rd, Pub, 제II, IV, V, VI, VII, VIII, IX, X, XI, XII 연관군의 각각 lg, g, Ps, gh, Hla, la, nl, bl, bc, 및 gl은 과거의 보고와 일치되는 분리비를 나타내어 이 실험에서의 유전분리가 정상적인 것이었음을 입증한다. 2. 'Gamadiness'는 2개의 우성유전자에 의하여 보족적인 작용으로 표현되어 Gamadi 9: 정상7의 분리비를 보였다. 이 2개유전자를 G-a와 G-b로 명명하였다. 3. G-a 유전자는 제Ⅸ연관군의 nl 유전자와 0.37± 0.027의 조환가로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4. G-b 유전자는 제XI연관군의 bc 유전자와 0.27± 0.061의 절환가로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절환가로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6.
        197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통일"과 같은 정도의 내병.내도복.다수성인 semidwarf 찰벼 품종을 육종하고저 통일 2//IR833/IR1317 의 연속교배 F2 세대까지를 온실에서 계대양성하고 F3 세대에서 포장선발을 하여 그들의 F4 또는 F5 세대에서의 특성 및 수량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wx126F5 계통들 중에는 "통일"과 같은 정도의 수량성을 갖인 계통들이 있었다. 2. 이들 계통들은 출수기.내병성.내충성등도 "통일"과 동등하거나 그보다 우수하였다. 3. 비교적 단기간에 소면적에서 실용품종을 육성하는데 Back-cross 육종법이 유효하였다. 4. "통일"은 단간다수성 유도를 위한 반복친으로서 유효하였다. 5. 일회친을 찰형질은 메벼와 수회 back-cross하는 동안에도 그 특성이 변하지 않았다. 메벼와 수회 back-cross하는 동안에도 그 특성이 변하지 않았다.
        7.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 단백질 함량의 품종과 환경에 따른 변이를 알고자 한국재래품종 11, 한국에서 육성된 현장려품종 12 및 일본에서 도입된 현장려품종 10, 합계 33 품종을 보통재배하고, 한편 Indica 2품종과 Japonica 2품종을 유기물과 질소시용량을 달리하여 재배하고, 이들 현미의 질소를 분석하여 이것을 단백질 함량으로 환산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1개 재래품종군의 단백질 함량은 평균 6.82%, 국내에서 육성된 장려품종군의 평균은 6.51%, 도입된 장려 품종균의 평균은 6.4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래 품종군이 높은 편이었다. 2. 대체로 조생종일수록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공시된 Indica 품종들이 단백질함량은 현저하게 높았다. 3. 질소비료의 증시는 단백질 함량을 현저하게 증가시켰지만 유기물과 석회의 시용은 거의 영향이 없었다. 4.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5.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단백질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본시험의 밀도범위에서는 각 품종들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