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Montreal protocol in1989 designated MB(methyl bromide) as ozone depleting chemicals, IPPC(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has adopted replacing the MB with alternative chemical and reducing the rate of MB use in plant quarantine in 2008. Pineapple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ly fumigated imported fruit with MB in Korea. However, there was no technically available replacement. Therefore, we evaluated phosphine(PH3) fumigation as alternative to MB in applying pineapples.
In the preliminary test, PH3 gas in 12L desicators to calculate ranged to 0.1 from 2g/m3 was tested at 2 and 24hr exposure to target pest, citrus mealy bug(CMB, Planococcus citri). All different of stage of CMB was shown 100% mortality when 2g/m3 of PH3 applied for 24hrs at 8℃. To confirm studies designed in 0.5m3 fumigation chamber, all egg, nymph and adult stages of CMB was killed completely and there wasn’t any phytotoxic and quality damages on pineapples for 2 weeks post-fumigation periods at 8℃. In terms of commercial use, further commercial research will need to be carry out in cooperation with importers and fumigators.
Weed control ís the most ímportant íssue ín organíc farmíng systems that límít crop growth and theír yíeld. Fíeld experíments were conducted ín organíc soybean (Glycine max Merrí/l) to evaluate the weed suppressíon effects of salt and seawater treatment. Weed populatíon and fresh weíght were monítored after 6 weeks of saft and seawater treatments. The most ímportant weeds were Dígítaría sanguínalís, Portulaca oleracea, Tradescantía reflexa and Chenopodíum album var. centrorubrum, but also 6 other specíes were observed ín soybean arable fíeld. Soybean crops under seawater or theír solíds applicatíon were well grown. The results treated wíth salts and seawater índícate decreases by 13.4-30.8% ín weed densíty and by 18.0-43.2% ín theír fresh weíght and soíl hardness íncreases of up to 2.1-fold. Salt and seawater províded good addítíonal weed control, but they were caused a seríous problem ín deteríoratíon of soíl physícal propertíes.
묘삼수량에 미치는 기상요인의 영향을 알고자 7개년간의 묘삼수량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상요인의 년차변이는 강수량이 가장 컸고 다음이 일조시수였으며 기온에서 가장 작았다. 평균기온의 년차변이는 6월에서 가장 컸고 4월에서 가장 작았다. 2. 묘삼소질별수량의 연차변이는 중량미달묘삼에서 가장 컸고 사용가능묘삼에서 제일 작았다. 3. 사용가능묘삼수는 묘삼생산총본수와 높은 정(+)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묘삼생산총본수는 1-3월간의 강수량과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사용가능묘삼수와 7월의 기온간에는 부(-)상관이, 5월의 강수량과는 정의 상관이 각각 인정되어 묘포에서의 수분관리는 5월부터 시작하여야됨이 시사되었다.
우리나라의 농업기후자원량의 분포와 변동을 파악하여 벼의 안전재배기준을 설정하는 데 이용하고자 수집가능한 전국 155개소의 농업기상자료를 전산화하여 농업지대의 기후구분을 시도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4~5월의 평균기온은 10~16℃ 의 분포를 보이며 유효온도 15℃ 이상인 작물기간은 태백산맥의 고냉지대가 100~130일 이며, 남부해안지대에서는 180일로 50일 이상 차이가 있다. 2. 이앙기에 한발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4~6월 한발지수(∑E/∑R)가 1.2이상이 되는 영남분지 및 동해안지대이다. 3. 7~9월의 평균기온은 18℃ 이하에서 25℃ 까지 7℃ 이상 차이가 있으며 태백산맥산간지와 소백산간지를 주향하는 22℃ 이하 지역이 냉해우려지이며 표준편차 2.8℃ 이상인 지역은 내륙성을 보인다. 4. 동해안지대와 태백산간지대는 영서내륙지대보다 특히 일조시수가 짧다. 5. 기후생산력지수는 태백고냉지대가 0.7~0.8로 가장 낮으며 소백산간지대는 0.9~0.95이다. 기후생산지수가 가장 높은 지대는 호남의 차영남부 평야지이다. 6. 기후자원량의 분포와 변동 및 기후지수를 중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태백고냉지대 등 19개 농업지대로 기후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