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서’ 마늘(Allium sativum L.)의 생장점 배양에 가장 효과적인 배양조건을 확립하고자 신초 유도 및 구 형성에 있어 식물생장조절제와 sucrose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신초 유도에 관한 1차 시험에서는 NAA 0, 0.2, 0.5, 1 mg/L와 2iP 0, 2, 3, 5 mg/L를 조합하여 16가지 조건으로 설정하여 총 1,460개의 생장점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NAA 0.2 mg/L에 2iP 2~5 mg/L를 처리한 조건과 NAA 1.0 mg/L에 2iP 5 mg/L를 처리한 조건에서 양호한 분얼 생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NAA 0.2 mg/L와 2iP 3 mg/L 처리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가장 높은 평균 신초 생성률을 보여 효과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Sucrose 처리농도에 따른 기내소구 형성률을 비교하기 위한 2차 시험에서는 1차 시험에서 선발된 조건(NAA 0.2 mg/L, 2iP 3 mg/L)에서 배양한 1,193개의 생장점 중 생존한 546개를 5%, 7%, 9% 농도로 처리한 구 형성 배지에 계대배양하였다. 그 결과, sucrose 농도가 높을수록 기내소구의 형성률 및 0.1 g 이상의 큰 기내소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서’ 마늘 생장점 배양에 적합한 신초 유도 조건은 NAA 0.2 mg/L와 2iP 3 mg/L의 조합이며, 구 형성은 9% sucrose 농도가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점점 더 많은 연구자와 정부에서 해양에너지 자원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장죽수도는 조류에너지 밀도가 높아 조류 발전소를 건설하기에 적합한 잠재적 후보지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CIRC 모델을 이용하여 장죽수도의 조류자원의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한 수치적 접근방식을 제시하고, 내부 코드를 이용하여 조석 특성을 입력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1 MW급 규모의 조류에너지 변환장치를 대상으로 4개의 레이아웃으로 배열하고 후류 효과로 인한 연간 에너지 생산량에 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효율이 가장 좋은 배치는 연간 최대 12.96 GWh/year의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값은 후류 효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고려하 면 연간 0.16 GWh씩 감소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창낙조 때 터빈 요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이 요소가 에너지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터빈 배열은 터빈 요 각도가 346°와 164°(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일 때 대조기와 소조기에서 차례로 최대 조류 에너지를 얻 을 수 있었다.
        4,000원
        3.
        2016.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one liquid emulsion with and without fish oil containing higher omega-3 fatty acid in parenteral nutrition (PN) of newborns. Serum chemistry and clinical complications from Medical Records of 76 newborns who had received PN with either SMOFlipidⓇ or ClinOleicⓇ for at least 7 days in NICU at Chosun Univeristy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4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erum chemistry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total bilirubin (TB), glucose, blood urea nitrate (BUN), creatine (Cr), and cholesterol, but they even were not clinically significant as their values were within almost normal range.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clinical complications, the incidence of cholestasis was higher in newborns given ClinOleicⓇ.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this stud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inOleicⓇ and SMOFlipidⓇ in their clinical efficacy was proven. But, considering the advantage of omega-3 fatty acid in reduction of cholestasis and infection risk, more studies may be needed using lipid emulsions containing higher content of fish oil with high omega-3 fatty acid, and they may be better if done with larger groups.
        5.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eaf structure is one of the important agronomic traits. A rolled leaf mutant was induced from an ethyl methane sulfonate (EMS)-treated japonica rice, 'Koshihikari'. The rolled leaf mutant showed phenotypes of reduced leaf width and leaf rolling. In addition, several abnorm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cluding dwarfism, defected panicle, delayed germination, and lower seed-setting. Microscop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small veins was decreased and the sizes of adaxial bulliform cells were reduced in the mutant leaves. The genetic study with two F2 populations from the crosses of the rolled leaf mutant with 'Koshihikari' and Milyang23 suggested that the mutant phenotype might be controlled by a single dominant g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