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bout 70% of total honey products produced by Korean bee keepers was acacia honey. The remaining 30% was chestnut honey, jujube honey, snowbell honey, and another honey. False acacia, went down in payability since the middle 2000s because of simultaneous blooming etiolation chlorsis decreases productivity after aging. Therefore, substitution honey plants were necessary. This study estimated nectar secretion amount of each flower and productivity per ha at 14 medical herbs. Each flower, Codonopsis lanceloata, estimated a majority nectar secretion amount at 176.08 ul for each of the 14 medical herbs. Astragalus membranaceus estimated majority nectar secretion amount at 1273.3 L per ha for each of the 14 medical herbs. Medical herbs were hypothesized with valuable honey plants.
        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Jujube trees, herbal medicine material, produce not only their fruit but also jujube honey for bee and human’ food sources. Although jujube is an important honey plant after acacia bloom, the research was done with 15-year-old jujube trees grown in ChungDo-Gun, which there was no information on jujube floral nectar. According to the research, jujube nectar secretion mostly happens during dawn and morning for two days. The average number of inflorescence per tree is 638.1 according to the research. And also, the average number of flowers per inflorescence is 64.4. The amount of nectar secretion is 11.6 ul on average per flower, and hypothesized nectar secretion from 15-year-old tree per tree is 476.682 ul. Also,a jujube tree has 545.5ul hypothesized nectar secretion per ha by the research.
        6.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과 캐나다는 한국에 분포하는 잎응애속(Tetranychus)중 범세계적 분포종인 점박이응애(T. urticae Koch)를 제외한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ensis Zacher), 차응애(T. kanzawai Kishida), 뽕나무응애(T. truncatus Ehara)를 검역대항으로 하고 있다. 잎응애속 응애들은 암컷성충으로 월동휴면에 들어가는데 기존의 수컷생색기의 형태를 위주로 한 동정방법으로는 이 휴면태의 암컷을 정확히 동정하기 어렵다. 월동을 위해 사과 과실 꼭지부에 우발적으로 부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되는 잎응애속 응애들의 월동휴면태에 대한 신속, 정확한 동정법이 수출검역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사과의 주요해충인 점박이응애와 과수원 주변에서 발견되는 벚나무응애, 뽕나무응애, 차응애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내 cytochrome oxidase subunit I(CO-I) 유전자를 PCR로 증폭하고 증폭된 DNA의 종간 변이를 이용하여 발육영기나 암수에 관계없이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쌍의 primer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일부(680 bp)를 중복되게 증폭하였고 증폭된 유전자는 제한효소 AluI, DdeI, Sau3A 대하여 응애종간 특이적 인식부위를 가지고 있었다. 제한효소에 의해 절단되는 특이적 DNA 단편은 Tetranychus 응애류를 동정하는데 유용한 표식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증폭한 CO-I 유전자내의 제한효소 인식부위에 대한 이들 4종 응애의 유전자지도를 작성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