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라이소자임이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라이소자임의 분해 절편도 또한 항균효능이 있는지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을 처리하여 확인해 보았다. 130개의 아미노산 으로 구성된 14 kDa 단백질인 라이소자임을 약 24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으 로 분해 하였다. 분해된 생성물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인 분석용 및 제조용 HPLC를 사용하여 분 석 및 분리하였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라이소자임 소화를 위한 최적 조건을 확인하고, 분해된 펩타이드 절 편들을 분리하였다. 효능평가 결과, 일부 펩타이드 절편들이 칸디다 알비칸스에 강한 항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몇몇은 활성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표로 효모 유래 MPC의 세포 생리활성을 조사하였 다. 피부 세포주에 처리된 Cu와 Zn 이온 모두 세포 독성이 확인되었지만, 정제된 MPC는 결합된 금속 이온의 세포 독성을 획기적으로 제거하였다. 게다가 특정 농도의 MPC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 율을 오히려 약 20% 증가시켰다. MPC 중 효모 펩타이드-Cu(YP-Cu)는 UVB 자극으로 유도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의 양을 약 30%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 YP-Zn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YP-Cu 처리는 피부 세포에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량을 2배 증가시켰고, 프로콜라겐 분비량은 1.7배 증 가시켰으며, UVB 자극에 의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저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결론적으로, 유리 금속 이온 자체는 세포독성 효과로 인해 화장품 소재에 적합하지 않지만, 정제된 MPC, 특히 YP-Cu는 이러한 금속 이온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상쇄하고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UVB 자극에 따 른 유해 효과를 완화하기 때문에 잠재적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