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물의 스트레스 조기 진단은 농업에 있어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해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어 중요한 기술이다. 기존의 스트레스 진단이 가진 파괴적인 형식의 시료 채집과 양분 분석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 극복을 위해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미래에는 대단위 영상을 이용한 생육 진단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실험 포장에서 수행되었으며, 무인항공기(UAV)를 이용하여 양분 결핍 처리(관행시비, 질소 결핍, 인 결핍, 칼륨 결핍, 무비)에 따른 벼의 생육을 조사했다. UAV를 이용해 생육 기간 중 총 6회에 걸쳐 포장을 촬영하였고, 영상을 기반으로 11개의 식생 지수를 산출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양분 결핍을 진단하는 모델을 구축하여 평가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엽록소 함량과 관련된 지수인 NDRE (Normalized Difference Red Edge)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어 벼의 양분 상태를 효과적으로 진단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6개의 각 단계별로 모델을 평가하였을 때 모든 단계에서 accuracy가 0.7 이상으로 나타났다. 조기 진단을 위해 첫 촬영 날짜인 7월 5일의 자료로 모델을 만들어 다른 회차에 적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5개의 모든 단계에서 0.9 이상의 accuracy를 얻었다. 종합적으로, UAV 영상 기반의 식생 지수를 활용한 양분 결핍 진단은 벼의 생육을 조기에 예측하는 데 효과적이며, 이는 정밀 농업 분야에서 시간과 노동을 절감하고 양분 관리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콩의 한해 및 습해에서의 안정생산 재배법 확립을 위한 물관리 방법별 생육특성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1년과 2022년 2년에 걸쳐 무처리, 무굴착 땅속배수, 지중점적 관개 및 무굴착 땅속배수 + 지중점적 관개(관·배수 통합) 4처리로 수행하였다. 연차간 토양수분함량 및 토양수분장력은 관·배수 통합 처리구에서 토양 수분 장력 변이가 낮고, 안정적 토양수분 유지가 가능했으며, 2021년 생육특성 조사에서는 관·배수 통합 처리구 초장이 57.1㎝로 가장 길게 나타나, 가장 짧은 무관개 43.1㎝ 대비 32.5% 더 길게 조사되었으며, 2022년 초장 또한 같은 경향으로 관·배수 통합 > 지중점적관개 > 무굴착 땅속배수 > 무관개 순서로 길었다. 수량구성요소에서도 생육특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에 수량도 수량구성요소가 가장 높았던 관·배수 통합 처리구에서 연차간 각각 409, 346 kg/10a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관개량 및 물 이용효율 평가에서는 관·배수 통합 처리구가 지중점적관개 처리구 대비 일평균 관개량 203.1 ton/10a 더 많을 뿐만 아니라, 물 이용효율에서도 45.6% 더 낮게 나왔기 때문에 추후, 기후변화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물관리와 한정된 농업용수 사용을 최대화로 할 수 있는 관개량에 따른 더 세부적인 연구가 추가된다면, 현재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범지구적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환경에서 보다 더 물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 안정적인 콩 물관리 재배기술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uckyone 2ho’ is a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cultivar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e of Animal Science (NIAS) in 2017. To develope the new variety of orchardgrass, 5 superior clones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Luckyone 2ho’ were examined at Cheonan from 2012 to 2014, and regional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Pheonchang, Jinju and Jeju from 2015 to 2017, respectively. ‘Luckyone 2ho’ showed medium type growth habit in fall, and medium in length of flag leaf and very long upper internode. Plant height of ‘Luckyone 2ho’ was 3 cm less than that of standard cultivar, ‘Potomac’ and heading date was 1 days later than 5th May compared to standard cultivar, ‘Potomac’.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logging and disease resistance of ‘Luckyone 2ho’ were stronger or better than those of standard cultivar, ‘Potomac’, Especially, dry matter yield of ‘Luckyone 2ho’(15,980 kg/ha) increased 9 % compared to that of standard cultivar, ‘Potomac’(14,702 kg/ha). Nutritive values were appeared to be similar in both varieties excep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IVDMD) and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3,000원
        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ucky one’ is a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variety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in 2014. Four superior clones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to develope this new variety of orchardgrass.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Lucky one’ were examined at Cheonan from 2010 to 2011. Regional adaption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Hoengseong, Jinju, and Jeju from 2012 to 2014. ‘Lucky one’ showed growth habit of medium type in fall and spring. It has short flag leaf length with long upper internode. Plant height of ‘Lucky one’ was 3 cm more than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Its heading date was 2 days later than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logging and disease resistance of ‘Lucky one’ were stronger or better than those of control variety, ‘Amba’, Especially, dry matter yield of ‘Lucky one’ (16,191 kg/ha) was increased 38% compared to that of control variety, ‘Amba’(11,778 kg/ha). Nutritive feed values of ‘Lucky one’ appeared to be similar to those of control variety ‘Amba’ excep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crude protein content.
        3,000원
        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nuri 2ho’ is a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variety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in 2014. Four superior clones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to develop this new variety of orchardgrass.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Onnuri 2ho’ were examined at Cheonan from 2010 to 2011. Regional adaptation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Hoengseong, Jinju and Jeju from 2012 to 2014. ‘Onnuri 2ho’ showed growth habit of medium type in fall and spring. It is long in length of flag leaf with medium upper internode. Plant height of ‘Onnuri 2ho’ was 4 cm more than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Its heading date was 4 days later than compared to control variety, ‘Amba’.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logging and disease resistance of ‘Onnuri 2ho’ were stronger or better than those of control variety, ‘Amba’, Especially, the dry matter yield of ‘Onnuri 2ho’ (15,814 kg/ha) was increased 34 % compared to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11,778 kg/ha). Nutritive feed values of ‘Onnuri 2ho’ appeared to be similar to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excep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3,000원
        1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liber persistent artery (CPA) is a vascular anomaly presenting as a bluish and pulsatile artery in the subepithelial tissue. Although the incidence of CPA was debated, many CPAs occurred in the perioral and facial tissues at which the embryonal strapedial artery networks were distribute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a case of CPA occurred in the retromolar buccal mucosa in a 37 years old male. The lesion showed many pinkish granular spots, but was asymptomatic except biting irritation during mastication. It had slowly increased in size up to 20 × 25 mm for 3 years, and recently became hemorrhagic due to the biting injury between left upper and lower second molars. With the fear of oral cancer an in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and followed by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Histologically the lesion showed many tortuous artery localized at the submucosa area, and the arterial wall was thick and its lumen was narrowed and shrunken. In the immunochemistry α-SMA was positive for thick smooth muscle layer of artery and arterioles, TGase 2 was weakly positive for the luminal surface of arterial intima, and bFGF was consistently positive for the perivascular fibrous tissue. But PCNA, VEGF, CD31, CMG2, TGF-β1, HSP-70, and 14-3-3 were almost negative for the vascular tissue. Therefore, it was presumed that the lesion was not actively proliferative nor degenerative but still retained its cellular stability and slow growing potential. It was finally diagnosed as CPA differentially from arterio-venous malformation, hemangioma, lymphangi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The retromolar buccal mucosa CPA is first reported in this study and may present usual clinical findings depending on its size and location. This asymptomatic lesion could be severely hemorrhagic by minor biting injury, therefore, precise differential diagnosis should be made through biopsy, and careful therapy be followed.
        4,000원
        1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꺽저기 Coreoperca kawamebari는 탐진강 및 인접 하 천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반면, 꺽지 C. herzi는 전국의 여러 하천에 분포한다. 두 종의 공서 수역에 대해서 지금 까지 보고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 섬진강의 지류인 보성강과 영산강의 지류인 지석천에서 두 종의 공서 수 역을 확인하였다. 꺽저기와 꺽지의 공서 수역 내에서 하 천 환경의 차이에 따른 두 종의 분포 양상과 어류 군집 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1년 9월부터 2012년 10 월까지 보성강 상류 수역에서 환경 요인과 어류 군집을 조사하였다. 순위 수도 분포 분석에 의하면, 서식지 환경 이 다양할수록 꺽저기와 꺽지의 출현 비율이 비슷할 뿐 만 아니라 어류 군집의 종다양성이 높았다. 정준대응분석 결과에서 꺽저기는 정체 수역에 서식하는 반면, 꺽지는 하상이 호박돌으로 이루어지고 유속이 빠른 환경에 서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꺽저기와 꺽지의 서식지 환경이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하천 의 서식지 환경이 단순하면 꺽저기나 꺽지 중 한 종만 출현하고 어류 군집의 종 다양성이 감소하였으며 서식지 환경이 다양하면 이들 두 종이 공존할 수 있고 종 다양 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