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ilaparvata lugens, brown planthoppers, is one of important pests on rice. Korean N. lugens is migrated from China and causing severe damages on rice in early September in Korea. For identifying biotypes of these N. lugens based on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we completed mitochondrial genome of N. lugens captured in Hadong-gun, Gyoungsang-nam province in Korea. The circular mitogenome of N. lugens is 17,610 bp including 13 protein-coding genes, two ribosomal RNA genes, 22 transfer RNAs, and a single large non-coding region of 2,424 bp. The base composition was AT-biased (89.5%). 112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59 insertions and deletions are identified by comparing with Chinese N. lugens. Based on phylogenetic trees together with those of N. lugens captured in China, no clear phylogenetic relationship along with five biotypes, requiring more researches to achieve biotype identification including detailed analysis of sequence variations on mitochondrial genomes and whole genome analysis of N. lugens in near future.
        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목적: 최근 근시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하여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누진렌즈가 처방되고 있다. 그러나 중간 영역의 좁은 시야로 인해 누진렌즈 착용시 영어 및 중국어 문자의 가독성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단초점 렌즈를 착용할 때와 누진렌즈를 착용 할 때, 영어와 중국어 문자의 가독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총 40 명의 피검자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피검자들은 누진렌즈 또는 단초점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영어 또는 중국어 텍스트를 읽을 때 지정된 글자를 찾도록 요구받았다. 주어진 텍스트를 읽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고, 피검자가 누진렌즈를 착용한 경우와 단초점 렌즈를 착용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텍스트를 읽는데 걸린 시간을 가독성의 기준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피검자들은 영어와 중국어 문자 양쪽 모두에 대하여, 단초점 렌즈를 착용했을 때보다 누진렌즈를 착용했을 때 텍스트를 읽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러한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영문자 'm'과 중문자 '一'의 경우에 관찰되었다. 결론: 실험 결과로부터, 중간 거리 영역의 좁은 시야로 인하여 누진렌즈의 착용이 가독성을 저하시킨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가독성의 저하는 청소년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학습기의 청소년에게 근시 억제를 위한 누진렌즈를 처방할 때 누진렌즈의 협소한 중간거리 시야가 독서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렌즈설계 디자인 등의 측면에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