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는 CFHT에 부착된 OASIS 분광기, MR 1 그리즘으로 관측한 방출선 중, Hβ와 [O III] 5007 방출선을 분 석하여, 제 2형 세이퍼트 은하 Mrk 1의 운동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O III] 금지선의 가우시안 선 윤곽 분석을 통해 초과하는 청색 이동 성분의 방출 영역이 비대칭적으로 보이는데, (1) 은하 중심부 약 960 pc거리에서 플럭스는 최대를 보이고, (2) 은하 중심부에서 NS 방향으로 ~900 km s−1인 큰 선폭 지역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원소의 분광 영상에서 보이는 시선 속도의 특징은 NE 방향에서 접근하는 가스의 흐름이, SW 방향으로 적색 이동, 즉 멀어지는 가스의 흐름 이 나타나 반시계 방향 은하의 회전 경향성을 보여준다. 시선 속도 자료로부터 은하 중심은 우리를 향해 접근하는 먼 지 가스가 가리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4,900원
        2.
        2020.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nalyze high dispersion emission lines of the symbiotic nova AG Pegasi, observed in 1998, 2001, and 2002. The Hα and Hβ lines show three components, two narrow and one underlying broad line components, but most other lines, such as HI, HeI, and HeII lines, show two blue- and red-shifted components only. A recent study by Lee & Hyung (2018) suggested that the double Gaussian lines emitted from a bipolar conical shell are likely to form Raman scattering lines observed in 1998. In this study, we show that the bipolar cone with an opening angle of 74°, which expands at a velocity of 70 km s-1 along the polar axis of the white dwarf, can accommodate the observed double line profiles in 1998, 2001, and 2002. We conclude that the emission zone of the bipolar conical shell, which formed along the bipolar axis of the white dwarf due to the collimation by the accretion disk, is responsible for the double Gaussian profiles.
        4,000원
        4.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 Lick 천문대에서 위상이 다른 세 시기에 공생별 AG Peg을 분광 관측하고 방출선 H I, He II, O III를 조 사하였다. 6개의 O III Bowen 선의 FWHM과 선세기를 측정하고 형광 기작 효율을 연구하였다. 세 시기의 O III 일반 선과 Bowen 선의 평균 FWHM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선세기 비는 약 4.0 배 정도로 O III Bowen 선이 높았다. O III Bowen 선의 이론적 세기 비와 관측 세기 비를 비교한 결과, O III λ 3759.87만 제외하고 관측한 세기가 이론적 세기보 다 크다는 사실을 알았다. O III λ 3791.26과 3754.67의 선세기 비는 세 시기 중에서 2001년도만이 Saraph and Seaton (1980)의 모델과 잘 일치하였다. 다른 두 시기는 AG Peg의 효율(R)을 구할 수 없었으나 2002년은 R=0.47을 얻었다. 이 때문에, 2002년 효율 결과를 기초로 He II λ 4685.68에 대한 O III 일반선과 Bowen 선의 세기 비를 구하여 시기에 따른 효율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AG Peg의 효율은 1998년이 가장 높았고 2001년이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위상에 따른 효율 변화는 이온화된 가스의 전자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데, AG Peg의 효율은 전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우리 연구 결과는 선세기 비 및 효율의 경향성 파악과 공생별에서 이온화된 껍질의 물리적 조건을 이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4,900원
        5.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생별 AG Peg는 적색거성(GS)과 백색왜성(WD)으로 구성된 성운으로 둘러싸인 쌍성계이다. AG Peg의 분광 자료는 1998년, 2001년, 그리고 2002년의 세 시기에 미국 Lick 천문대에서 관측한 자료로 HI 발머 방출선 자료를 분 석하였다. AG Peg의 선세기와 폭은 각 시기에 따라 변하는데, Hα와 Hβ선에서 모두 청색편이, 적색편이, 넓은 폭 성 분이 나타났다. 가스 성운의 운동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방출선은 WD주변에 형성된 강착원반의 반경이 매우 큼을 보여 준다. 관측자의 시선 방향을 고려하면, 1998년 관측은 AG Peg의 GS와 WD가 나란히 하늘에 있는 반면, 2002년에는 WD가 GS의 전면에, 2001년에는 WD가 GS의 뒷면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와 분광선의 변화를 고려하여, 우리는 GS에서 WD로의 가스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형성된 두꺼운 원반의 회전이 관측된 분광선 윤 곽의 형성을 가져온 것으로 결론지었다.
        4,000원
        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high dispersion spectra that had been secured at the center of the planetary nebula NGC 7027 with the Bohyunsan Optical Echelle Spectrograph (BOES) on October, 20, 2009. We analyzed the forbidden lines of [OI], [SII], [OII], [NII], [ClIII], [ArIII], [OIII], [ArIV], [NeIII], [ArV], and [CaⅤ] in the 3770-9225Å wavelength region. The expansion velocities were derived from double Gaussian line profiles of the emission lines, after eliminating the subsidiary line broadening effects. The radial variations of the expansion velocities were obtained by projecting the derived expansion velocities: 19.56-31.93 kms ¯¹ onto the equatorial shell elements of the inner and the outer boundaries of the main shell of 2.5(2.1)'' and 3.8(3.6)'', according to the ionization potential of each ion. Analysis of equatorial shell spectra indicated that the equatorial shell generally expands in an accelerated velocity mode, but the expansion pattern deviates from a linear velocity growth with radial distance. NGC 7027, of which age is about 1000 years or less, might be still at its early stage. During the first few hundred years, plausibly in its early stage, the main shell of PN expands very slowly and, later, it gradually gain its normal expansion speed.
        4,000원
        11.
        2009.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circumnuclear region of the Seyfert 2 galaxy NGC 5728, using the CFHT 3.6 m OASIS [S ΙΙ], [O ΙΙΙ] & Hβ, spectral images complemented with the IUE spectra.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circumnuclear zone has been derived: the gas density (indicated by [S ΙΙ]6716/31 ratio) around the C core is generally similar to that around the NW core, i.e., ~ 500 cm-3. However, there appears to be evidence of a higher density shell in front of the NW core, ~ 104 cm -3 at -250 km s-1. The IUE Si ΙΙΙ]1892/C ΙΙΙ]1909 ratio implies a possible presence of a broad emission region of gas densities of ~1010 cm-3. The SE cone and surrounding area show several prominent features, while the NW cone does not show any particular structure: we identified three prominent blobs in the SE cone and one possible candidate in the NW cone. The outflow activities exist within the relatively large conic opening angle.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inflow or outflow activities of blobs found in the circumnuclear region of NGC 5728. The gas around two cores, two cones, and several blobs, is likely to be excited by the AGN hot source(s).
        4,000원
        15.
        200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emical compositions of planetary nebulae are of interest for a study of the late stage of stellar evolution and for elemental contributions to the interstellar medium of reprocessed elements since possibly a large fraction of stars in 0.8 - 8 M⊙ range go through this stage. One of the methods for getting chemical composition is a construction of theoretical photoionization models, which involves geometrical complexities and a variety of physical processes. With modelling effort, one can analyze the high dispersion and find the elemental abundances for a number of planetary nebulae. The model also gives the physical parameter of planetary nebula and its central star physical parameter along with the knowledge of its evolutionary status. Two planetary nebulae, NGC 7026 and Hu 1-2, which could have evolved from about one solar mass progenitor stars, showed radically different chemical abundances: the former has high chemical abundances in most elements, while the latter has extremely low abundances. We discuss their significance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our Galaxy.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