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에서의 기온, 강수량, 호우일수가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토양 답압과 높은 불투수면적 비율이 나타나는 도심지를 중심으로 정원과 공공녹지에 활용되는 식물 소재에 있어 내침수성이 중요한 특성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 다. 그러나 내침수성 식물소재에 대한 대다수의 문헌은 재배경 험이나 각 종의 서식지 환경에 기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실험 적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수분함량이 높은 서식지에서 기원한 골등골나물(Eupatorium lindleyanum DC.), 새등골나물(E. fortunei Turcz.), 좀개미취(Aster maackii Regel) 3개 종과 중간인 서식지에서 기원한 까실쑥부쟁이 (A. ageratoides Turcz.) 1개 종의 침수조건에 대한 생육반응 비교로 서식지 환경이 내침수성 평가의 유효한 지표인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실험대상 종을 6주간 무처리(대조구), 5일 침수처리, 7일 침수처리한 결과, 골등골나물과 새등골나물은 대조구와 처리구간 생육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높은 수준 의 내침수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개미취는 생장반응이 처리구에서 대조구 대비 유의하게 감소하여 내침수성은 제한적 인 것으로 보였으나, 5일 침수처리구에서 광계 II의 최대양자효 율(Fv/Fm)이, 두 처리구 모두에서 지상부 대비 지하부의 비율 (R/S율)이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침수조건의 해 소 후 회복 가능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까실쑥부쟁이는 처리 4 주차에 모든 처리구에서 100%의 고사율을 보여 내침수 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서식지 환경 은 내침수성과 관련이 있다 할 수 있었으나, 내침수성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토양수분함량 외 다양한 환경요소들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knowledge of spelling cannot be earned by lear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sounds and graphemes.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learners' knowledge is not a mere result of simple memorization.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the learners’ spelling knowledge is interwoven with their established phonemic inventory and their imperfect knowledge of the target language spelling. Using a learner corpus (KNU English Learner Corpus) constructed from young learners, primary school grades from 4 to 6, enrolled in a gifted English program, we extracted and examined 125 erroneously spelled words each from the basic level and the advanced level subcorpus. Building on Justicia et al. (1999), the error data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and an additional category of morpheme error (MOR) with substitution and omission errors accounting for 76.3% of the total errors. Conducting further analysis, we were able to identify typical cases of the errors and the underlying causes inducing the errors. Generally speaking, the substitution error is found to be due to the variability between grapheme and sound whereas the omission error is often caused by the learners’ tendency to prefer simpler graphemephoneme relations. There also exists considerable intervention of the learners' Korean phonemic inventory, particularly in lower level learner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provide various specific guides for effective spelling instruction and help learners become more confident about their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