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줄수염나방아과는 나비목 중에서 가장 큰 분류군 중 하나인 밤나방과에 속한다. 분류군 내에서 날개무늬가 비슷한 경우가 있어 동정에 어려움이 많은 그룹 중 하나이다. 또한, 이 들은 산림 지역, 초지 및 물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생활 습성에 따라 일부는 임업 및 농업에 피해가 큰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 중요한 경제곤충 그룹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분류동정이 어려운 줄수염나방아과 곤충을 대상으로 야외채집조사, 표본제작, 생식기 해부검경 및 DNA 바코드 등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분류학적 동정지침서를 작성하고자 수행 되었다. 연구결과 19속 63종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DNA바코드 데이터는 정확한 바코드를 활용한 진단 및 동정 연구 등에 활용되고, 이들의 분포정보 구축, 형태적 특징 및 분자분석 연구의 기초데이터 확보를 통한 관련 분야 활성화 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ox tree moth, Cydalima perspectalis (Walker, 1859) (Lepidoptera: Crambidae), is a native species in East Asia specialized in box trees (Buxus sp.) but has recently invaded most European countries. Due to the absence of its natural enemies in Europe, the economic impact is serious in most countries. In order to find parasitoid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Korea, C. perspectalis larvae were collected from ornamental and native box trees from various regions of the country from 2022 to 2023. While rearing them in the insectary, several parasitoids emerged from the larvae. We found at least six larval parasitoids, including five wasp species and one fly species. Molecular diagnosis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showed that most samples were 90–97% identical to the data in the NCBI databas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biological and parasitic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rate, fecundity, host specificity, and parasitic rate, to clarify the suitability of parasitoid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re we reported two unrecorded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n flora. Andropogon virginicus L. of Graminaeae and Euphorbia postrata Aiton of Euphorbiaceae are collected from Dong-gu, Ulsan-si and Sinjindo-ri, Taean-gun, Chungcheongnam-do respectively. A. virginicus L. wa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meda triandras var. japonica Makino by keel on glume, 2-4 racemes and long hairy rachis. Thus, the new Korean name, 'Na-do-sol-sae', was given. E. postrata Aiton was cleary distinguished from related taxa by hairs on only edges of fruits. The new Korean name, 'Nu-un-ttang-bin-dae' was given considering the species epithet.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showing habitat were gi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