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인 ‘설향’을 대상으로 비가 림 포트 육묘 시 양분 공급 중단 시기에 따른 자묘의 생육과 정식 후 수량을 검토하였다. 자묘 받기를 완료한 후 양분을 EC 0.8dS · m−1 수준으로 공급하다가 7월 25 일부터 9월 5일에 걸쳐 약 10일 간격으로 양분 공급을 각각 중단하고 이후 수분만 공급하였다. 그 결과 육묘기 양분 공급 중단 시기가 7월 25일로 빠른 경우에 엽면적 등 지상부 생육은 억제되었으나 근중은 증가하여 T/R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엽록소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화아 분화가 촉진되어 정식 후의 출뢰, 개화 및 수확기가 앞당겨졌으나 8월 중순 이후까지 양분 공급이 지속될 경우에 수확 시기가 2주 이상 지연되었다. 이에 따라 7월 25일에 양분 공급을 중단한 처리구에서 1월 하순 및 2월 하순까지의 1주당 누적 상품과 수량은 각각 169 및 266g으로 나타났으며 9월 5일 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71 및 12% 수준의 유의한 수량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육묘 후기 자묘의 적절한 양분 공급 중단으로 체내 질소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딸기의 화아 분화를 촉진하고 수확 시기를 앞당겨 딸기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동절기 수량 및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딸기 유전자원 중 원예적 특성이 우수하여 육종 소재로 활 용 가능성이 높은 19품종을 대상으로 완숙된 과실을 부위별 (과피 및 과실 전체)로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안토시아닌 고함유 계통을 선 발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딸기의 과피는 22.04~87.16 mg · 100 g -1 FW, 과실 전체는 1.98~30.16 mg · 100 g -1 FW의 범위에 분포하여 측정 부위와 유전자원에 따라 안토시아닌 함량의 변이가 큼을 알 수 있었다. 과실 전 체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조사된 유전자원 중 ‘Sachinoka’, ‘Tamar’, ‘Amaou’, ‘Summerberry’ 순으로 안토시아닌 함량 이 높게 나타났다. 과피와 과실 전체 부위의 안토시아닌 함량 간의 상관계수가 0.867로 높아 과피를 기준으로 하여 과실 전 체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한 과실 전체의 안토시아닌 함량과 측정된 색차계의 L*값 (-0.791) 및 b*값(-0.772)에서 높은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딸기 육종 프로그램에서 안토시아닌 고함유 계 통을 신속하게 선발할 때, 색차계를 보조적인 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or genetic mapping studies, biparental segregating populations are often useful, however recombination is limited, giving rise to large genomic regions under QTL, and one can only study alelles present in both parents. In Wageninegn UR, a core collection is being developed representing all Brassica rapa morphotypes and geographic origins. As most B. rapa accessions are heterozygous and heterogeneous, we started a project to fix the collection through microspore culture. The resulting Diversity Fixed Foundation Set will be an interesting resource for association mapping studies, which have as advantage that they present the allelec variation present in the collection, and for mapping studies recombination is increased. Nineteen accessions of eight subspecies of Brassica rapa were used for microspore culture to developdoubled haploid lines. Eight morphotypes were represented: 3 Chinese cabbage, 2 Chinese turnip cabbage, 3 Pak choi, 5 Turnip, 3 Broccolleto, 1 Mizuna, 1 Komatsuna and 1 Turnip greenfrom the 19acessions examined, embryos were obtained for 13, representing six subspecies (Komatsuna and Turnip Green had no response). The embryo yield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se 13 accessions. We regenerated normal plants from 10 accessions that survived more than 4 weeks in the soil using microspore culture. Nine accessions flowered after 4 weeks vernalization at 5℃ and seeds were harvested from 5 accessions. From a Mizuna, we obtained 3791 seeds from one plant and total 7318 seeds were harvested from 5 accessions representing 4 subspecies(Chinese cabbage, Chinese turnip cabbage, Pak choi, Mizuna). At present, we carry out experiment for obtain more seeds and induce embryos from the other plant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