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향기를 가진 미니다화성계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강하 고 향기를 가지는 P. violacea 와 붉은색 화색을 가지는 중륜계 품종인 P. George Vasquize 간 인공교잡을 통해 잡종후대를 육성하였다. 무균파종과 조직배양을 통해 약 280개의 잡종후대를 얻어냈으며 각각의 개체들이 향기의 강도와 종류가 달랐지만 대부분 모든 잡종개체들에서 향 기가 있었다. 개화기에 화색과 화형 그리고 향기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7개체를 1차 선발하였고 2차 개화시기에 꽃배열, 화수, 생육속도 등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향기 가 강하고 화색이 밝은 적색인 미니다화성 한 계통(06- SC-29) 을 선발 육성하였다. SPME-CG/MS를 통한 향 기 분석에서 51개의 성분을 검출하였고 그 중 myrcene, sabinene, ocimene, cineolebergamototene, cardinene 과 linalool 등이 성분함량이 높게 검출되어 이 물질들이 주 요 향기성분 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향기발현 관련유전 자를 분리하기 위해 유향성 꽃에서 mRNA를 분리 후 NGS 분석을 시도하여 염기서열정보를 확보하고 이미 알려 진 향기관련 유전자의 정보를 통해 호접란 향기발현관련 유 전자 정보를 가진 contig와unigene을 찾아내었다. 꽃향기 발 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4개의 효소 linalool synthase(LIS), geranyl diphosphate synthase(GDPS), ocimene synthase(OS), farnesol kinase(FNK)를 coding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정보를 확보하여 다른 식물의 향기 유전자와 homology를 비교 하고, 꽃의 발달단계별, 꽃의 화기조직별 향기관련 유전자들에 대한 발현 정도를 검정하였다. 꽃의 발달 단계별 향기유전자는 유향종에서는 정도 차이는 있지만 거의 모 든 단계에서 발현이 관찰되었으나 무향종에서는 발현되 지 않거나 아주 약하게 발현되었다. 유향종의 화기조직 별 발현유무검정에서는 4개의 유전자가 꽃잎, 꽃받침, 암 술, 꽃술대에서 모두 고르게 발현되었다.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ly cultivated varieties of moth orchid flowers have weak or no fragrance and the plant requires high temperatures for cultivation. In order to develop a new variety of orchid that is psychrophilic and fragrant, intergeneric cross between wild wind orchids and moth orchids was performed. In 2009, To obtain intergeneric hybrids from Sedirea japonicum and Neofinetia falcata with moth orchids, artificial crosses with a total of 160 combinations were performed. Most of the cross combinations failed due to crossincompatibility after intergeneric crosses, with no pod formation, premature pod dropping after pod formation, and pod formation that did not produce seeds. From among these, the crosses that formed normal seeds and germinated to produce viable plants included Doritis pulcherrima × S. japonicum, N. falcata × D. pulcherrima, and N. falcata × P. equestris. From the hybrid specimens obtained through these crosses, 2 superior lines (819-3B and K9256)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floral morphology, number of flowers, hardiness, and fragrance. Comparative analyses of the morphological and chromosomal traits were performed between the selected hybrid specimens and their parents. The flower and inflorescenc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hybrids exhibited intermediary traits of both the parents; however, more traits from the moth orchids were inherited. For pollinia traits, both 819-3B and K9256 specimens exhibited intermediate forms of their parents in terms of their shape and size. In the case of 819-3B specimen, a high degree of trait similarity with that of D. pulcherrima was observed; whereas, K9256 specimen showed lobes similar to that of P. equestris. The ploidy of moth orchid, S. japonicum, and N. falcata used for crosses was diploid, as determined by microscopic examination and ploidy analysis. The microscopic examination of chromosomes from the intergeneric hybrid pollens revealed mutation of the chromosome count among different specimens as well as irregular chromosome separation. For the production of next-generation progeny using the obtained hybrids, back-cross was performed; however, most of the progeny obtained were sterile and, among the 12 back-crosses, pod formation was noted in S. japonicum × 819-3B and 819-3B × S. japonicum crosses onl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