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원예작물에서 화분매개곤충의 의존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사과, 딸기 등 화분매개곤충의 의존도가 높은 주요 과수와 시설작물에 대하여 화분매개곤충의 사용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딸기, 키위 등 5가지 주요 농작물에서 화분매개벌을 적용한 결과, 딸기에서 뒤영벌의 적용결과 기존 꿀벌과 통계적으로 같은 수준의 화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하우스에서 농약적용시 하우스 밖으로 벌통을 위치시키는 것이 방치보다 벌의 소실을 20% 더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인공수분 에 의존하고 있는 씨없는 수박에서 수분수 식재와 꿀벌을 이용함으로 기존 벌 방사보다 16% 착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설고추에서 꿀벌과 뒤영벌의 혼합사용시 기존 꿀벌 방사보다 고추 수량이 10% 향상되었고, 토마토 에서 660㎡당 뒤영벌의 봉군량을 1.5배 증가시 토마토 수량은 4.4% 향상되었다. 키위는 꿀벌로 기존의 인공수분 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었고, 인건비가 60%이상 절감되었다. 또한 현재 시판중인 30종의 살충제와 27종의 살균제 에 대하여 24시간내 반수치사를 보인 농약은 각각 살충제 6종와 살균제 4종 이었다. 이어서 2023년부터 참외, 멜론, 사과, 단감에 대한 현장적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HALS) and UV abosrber (UVA) and their respective photostabilizing effect on wood plastic composites (WPCs) a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accelerated weather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and the microscopic morphology of a degraded layer on the cross section and the surface were studied. UV absorbers were more efficient at preventing composite lightening than was UV stabilizer. The amount of whitening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otostabilizers. With the addition of a UV absorber (Tinuvin360), the tensile modulus and strength of the composites increased slightly. However, the addition of a light stabilizer (Tinuvin770) and a UV absorber decreased the tensile modulus and strength of the composites. After 250 and 500 hr exposure, tensile modulus and strength of the un stabilized and stabilized composites decreased. The tensile strength of UV absorber (Chimassorb81)-stabilized composite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ontrol and light stabilizer (Tinuvin770)- and UV absorber (Tinuvin360)-stabilized composites. UV absorber-stabilized samples showed less whitening and photodegradation than control and light stabilizer-stabilized samples.
        4,000원
        3.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llulose nanofibers from microfibril cellulose (MFC) was prepared by hydrobromic acid (HBr) treatment at different concentrations. Polyvinyl alcohol (PVA) composite films at various loading level of nanofibers were manufactured by a film casting method. The analysis of degree of polymerization (DP), crystallinity (Xc) and molecular weight (Mw) of cellulose after acid treatment was conducted.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cellulose nanofibers reinforced PVA films were characterized using tensile tests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DP and Mw of MFC by HBr hydrolysis considerably decreased, but Xc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fter acid hydrolysis, the diameter of cellulose nanofibers was in the range of 100 to 200 nm.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films was steadily improved with the increase of nanofiber loading.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ensile strength of PVA composite films with the increase in MFC loading. Finally, 5 wt.% nanofiber loading exhibited the highest tensile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of PVA composite films.
        4,000원
        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자로 내 사고발생 시 냉각수의 비등으로 기포가 발생하고, 기포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열수력 안전 분 야에서는 주로 Optical Fiber Probe(OFP)나 광학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지만 기하학적 구조의 한계로 인 해 17 × 17 배열의 봉 다발 내에 장비를 설치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예비 연구로서 봉 다발 에 적용하기 전 X선 시스템과 다양한 모사 팬텀을 이용하여 연구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라디오그라피 및 토모그라피 실험을 통해 X선 발생 장치의 관전압 130 kVp, 관전류 1 mA가 적합하였다. 또한, 기포 해상 도 팬텀을 통해 가시적으로 1 mm 크기의 구멍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막대 팬텀을 이용한 대조도 평 가의 경우 프레온 내부에서 대조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상 재구성 시 일그 러짐이 없는 좋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기포 발생 팬텀 실험을 통해 기포의 유동 방향 확인 및 단층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고, Image J 툴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층영상에 대해 18 %의 기포율을 측정할 수 있 었다. 본 연구는 핵연료 주변 기포율 측정을 위한 선행 연구를 수행하였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 연 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