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rokinas type plasminogen activator (uPA) has been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human diseases such as thrombosis. Attempts to transgenically overexpress the uPA in animal bioreactors have been hampered due to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this functional protein hormone on homeostasis. Recently, chicken has been emerged as a potential candidate for use as bioreactor to produce proteins of pharmaceutical importance. Since this species has low homology uPA sequence with mammals, we hypothesized that chicken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bioreactor for production of human uPA. In this study, using replication‐defective Murine Leukemia Virus (MLV)‐based retrovirus vectors encapsidated with Vesicular Stomatitis Virus G Glycoprotein (VSV‐G), we attempted to make transgenic chicken expressing human uPA (huPA). The recombinant retrovirus was injected beneath the blastoderm of non‐incubated chicken embryos (stage X, at laying). After 21 days of incubation (at hatching), all of the 38 living chicks that assayed, were found to express the vector‐encoded huPA gene in various organs and tissues, which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Rous Sarcoma Virus (RSV) or Cytomegalovirus (CMV) promoter. Using specific primer set for huPA, PCR and RTPCR analyses of gDNA isolated from these samples demonstrated these chickens were transgenic for huPA. Furthermore, successful germ line transmission of huPA transgene was confirmed and next generation whole body huPA transgenic chickens were also produced. We also assayed huPA protein titer in blood (17.1 IU/ml) and eggs (4.4 IU/ml) of whole body huPA transgenic chicken. Thu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chicken could be used as bioreactors to produce huPA.
        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근접방사선치료는 일반적으로 외부방사선치료와 병행하여 수행되고 치료단계가 매우 복잡하며 이로 인 해 방사선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근접방사선치료에 사고유형과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방법을 적용하여 프로세스 맵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치료단계에 대한 위해도를 산출하였다. 프로세스 맵은 “외래 및 진료”와 “근접방사선 모의치료”, “CT 모의 치료”, “근접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로 총 5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각 치료단계를 세분화하여 세부단 계를 작성하였다. 위해도를 산출하기 위해 의사와 의학물리사, 선량설계사, 방사선사, 간호사가 참여하여 세부단계마다 발생빈도와 심각도, 불검출도를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프로세스 맵은 각 치료단계마다 환 자 신원 확인 절차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며, 이는 다른 환자로 오인하여 서로 다른 치료계획이 수립되어 방 사선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프로세스 맵을 기반으로 작성한 세부단계에 대해 위해도를 평가한 결과, 전반적으로 “외래 및 진료”와 “근접방사선치료계획” 과정이 높은 위해도로 평가되었다. 직종마다 평가한 위해도는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간호사는 방사선치료를 제외한 모든 과정이 55점 이상의 위해도를 보였으며, “근접방사선 모의치료” 과정이 88.8점으로 가장 높았다. 방사선치료를 수행하는 의료기관마다 치 료단계가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 기관에 대한 프로세스 맵을 작성하고 위해도를 산출하여 중점관리 항목을 집중적으로 리스크 관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