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홍삼음료의 다양화 및 기능성 강화와 여러 기능성을 가진 황기의 식품으로의 활용에 역점을 두고, 기존의 증점제를 대신하여 동결건조 천년초열매를 첨가한 새로운 기능성 홍삼음료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높은 항산화활성을 지닌 황기추출물을 얻고자 추출용매의 지용성정도를 달리하면서(100(증류수) : 0(95% 에탄올), 75 : 25, 50 : 50, 25 : 75) 80oC에서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및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 증류수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추출물의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의 온도에 의한 황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추출용액의 온도를 달리하면서(60, 80oC)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80oC에서의 추출물이 증류수와 에탄올혼합비율과는 상관없이 대부분 60oC 추출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기존의 점증제를 대신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함유한 천연물 소재인 천년초분말을 선택하였으며, 구아검용액과 농도별 점도를 비교해 본 결과, 구아검 0.1%(w/v) 용액과 비슷한 점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천년초분말의 경우 1-2%(w/v)의 농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황기와 천년초 첨가가 홍삼용액의 저장성(35o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용액의 pH와 총미생물수를 7일 동안 측정하였다. 홍삼용액에 황기와 천년초를 첨가한 경우, 저장 1일째부터 pH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저장 3일째에는 pH가 약 3.6까지 떨어진 다음, 저장 6일 이후에는 다소 pH가 증가하였으며, 천년초분말을 첨가한 용액에서는 황기의 농도증가에 의한 유의적 pH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천년초를 첨가한 홍삼용액의 경우 황기의 농도와는 상관없이 저장 7일째 미생물의 성장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천년초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6 log cycle 이상의 큰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황기(3, 5%, w/v), 천년초(1.2%, w/v)를 함유한 홍삼용액(5%, w/v)이 대장암 및 뇌종양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0.5 mg/mL과 1 mg/mL의 농도에서 살펴본 결과, 종양세포에 대한 의미 있는 증식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An efficient model for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mu1tistory structures with f1exible f1∞r diaphragms
ís proposed in this paper.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finite element
model req버res t려ious input data preparatíon, longer computatíon time, 없1d 녀rger computer memory.
The mAn efficient model for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multistory structures with flexible floor diaphragms
is proposed in this paper.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finite element
model requires tedious input data preparation, longer computation time, and larger computer memory.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developed by assembling a series of two-dimensional resisting
systems and is consider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ithout deteriorating the ao::uracy of analysil:i rel:iultl:i. Static and dynamic analysis results obtained using
the proposed model are in exceUent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using tlt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in terms of displacements, periods, and mode shapes. Effects of floor diaphragm flexibility on
seismic response of multistory building structures are investigated.여el proposed in thís study ís develop:영 by assemb피19 a series of two-dím앙lSíonal rl없S피19
systems and is considered to over,∞me the shortcomings of a three -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ithout deteríorating the accuracy of ar녕lysís resu1ts. Static and dynamic analysis res버ts obtained using
the proposed m여el are in excellent agreement wíth those obtaint최 using three -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in terms of displaæments, periods, and m여e 삶1a야~. Effects of fl∞r 마aphragm f1exibility on
seismic response of mu1tistory b띠lding structures ar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