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출점과 성장을 해온 대형마트 점포수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신규 출점은 계속적으로 지속될 전망이고 향후 대형마트 성장세는 둔화되나 점 포수 등 외형적 성장은 계속되는 가운데 상품 차별화 추구, 고객 니즈부응, 고마진획득 등이 지속적으로 가능해져 PB상품 개발이 불황 국면 극복을 위한 저성장 시대의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 된다. 또한 국내 3대 대형마트가 의류PB 브랜드 를 계속적으로 출시, 확장하고 있는 상황과 운영전략에 대해 연구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형마트의 PB의 성공사례와 문제점을 도출하여 PB의 필요성에 대해 차별화와 고이익 창출을 위한 성공 적 전략 방안을 논의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형 마트 PB의 개념과 전략 방안 및 성공사례와 전 망을 살펴보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빠른 성장을 보이는 PB를 단 순히 유통업체가 상품을 유통시키면 된다는 제한된 역할 수행에서 벗어나, 제조업체가 지닌 유통 채널에 대한 지배력을 얻을 수 있 다는 것을 의미 확장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미 세계 주요 선진 유통업체들은 자사의 상품차별화와 수익성향상을 위해 PB상품 개 발에 많은 노력을 쏟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국적전략 및 외형적 확장, 더불어 높은 재무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좋은 사례는 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할인점의 포화에 따른 새로운 대안을 위해서는 차별화된 PB운영 전략이 필요함을 국내3개 주요할인점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특히 의류 PB상품은 철저한 시장분석과 디자인트렌드 및 고객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로 차별화된 상품력 및 고마진 획득을 통해 출점 정체된 대형마트 지속성장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좋은 계기를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여 할 인점 출점 한계에 따른 새로운 상품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할인점 주요 3개사의 경영실적과 세계 몇 개국의 대표적인 PB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국내 전체 소매 산업에 일반화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향후에는 국내에 입점된 다국적 SPA 브랜드와 국내 할인점 PB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가치를 극대 화한 의류PB 확대전략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2.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statistics and steadiness of wind and the monthly normality test of surface wind distribution are investigated by using the observed wind data compiled from 10m meteorological observation tower at Seocheon district, where is located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Feb. 7, 1996 to Feb. 7 1997. The northerly is appeared to be even in August and Sepember due to the influences of local circulation such as land and sea breez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γuv) between two wind components are seemed to be positive during the in the period of from June to September and negative from October to April, respectively. The constancy of wind is high in winter and low in summer. It is evident that the modal values of S decrease and their maximum values shifts to lower values with increasing sampling time. It is found from monthly normality test based on the skewness and the excess of kurtosis coefficients that the distribution of zonal wind component is normal in spring and meridional one is normal in late summer and early autumn.
        3.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ensiv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cluding pibal balloon at Ungcheon, airsonde and 10m meteorological tower observations at Gulup-Do, where are located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are taken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and lower atmospheric structure and the local circulation pattern during the period of 17 to 22 September 1996. The diurnal variations of weather elements(i.e, air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and wind speed) at Gulup-Do are analyzed and discussed with those at four inland meteorological stations. The vertical profiles of wind vector, orthogonality(Ω), and shear obtained from the pibal observations are also presented to examine the change of wi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synoptic-scale pressure system`s movement. The diurnal temperature changes at Gulup-Do are more sensitive than that of inland meteorological stations in case of the inflow of southwesterlies but are not dominant due to the ocean effect under the influence of relatively cold northerlies. A well defined mixed layer is developed from the 500m to the maximum 1700m with a significant capping inversion layer on the top of it. It can be found from the vertical profiles of wind vector that the wind become generally strong at the interface heights between cloud layers and non-cloud layers. The maximum wind shear is appeared at the height where the variation of wind direction induced by the passage of synoptic-scale pressure system is accompanied with the increase of wind speed. Based on the wind orthogonality, the change of wind direction with height is more complicated in cloudy day than in clear day. In case of a fair weather, the change of wind direction is showed to be at around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