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의 조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을 밝히고 해당 변인들 간의 관 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윤리적 리더십이 밀레니얼 세대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서 일 의미감 7가지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소속감, 잠재력의 표현, 영감 요인 등 세 가지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MZ세대 직장인 212명을 대상으로 윤리적 리더십 척도, 일 의미감 척도, 조직몰입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 일 의미감 7가지 하위요인, 조직몰입 간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은 MZ세대 직장인의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일 의미감의 매개효 과를 살펴본 결과, 소속감과 영감 요인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Z 세대가 리더를 윤리적으로 인식할수록 조직에 대해 높은 소속감을 지각하는 동시에 리더로부터 영감과 같은 긍정적 영향력을 받아 조직에 더욱 몰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한계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5,500원
        2.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븐 논푼에서깐 4 차 손상유효 tensor 플 이용하여 유한 탄소성변형 에 대 한 운동학 석인 슨상해석이 소새된다‘ 이뉴 뼈대 C]L 죠 에서의 연깐:<1] 긴F 상역학의 유효응역시l 념 유 팡하여 이우어 낀다. _1: ïf ~l'_ 떤형윌-상대 에 l간 석용헬 수 었는 등샤변형원- 혹은 에나 "-]볍고}든 단L! ) 저|안 렌 운동-학적인 방맴은 유효변형윤 i’} 유한맨형융에 작용헬 수 있는 {: i{- 요 변형상태에 였어서() ) 손상탄소성멘형윤 사이의 관계쓸 zl] .강 한다 이는 산제 형상과 가상의 유효행상 .~!..유에 대한 변형장의 운 몽학 윤 직접 고 L냐 하여 수행띈 다, 이 방볍 은- 등 가변형원-이나 R셔 ik! 윤 에너지 칭우 지댄 스 i {-!:ι 변형융- 에 한정꾀 시 않으내 . 유한 변형윤에 대한 에나시등기 의 가정과 임치 함원 효여준다 본 .:.c:- f!~- 에 서 늠 걷:상 이 만{: 생영역에 서 운능 학적으 _ti~ .if_현되 l셔‘ -얀상 유 효 tenso] 는 2 차 순상 t.ensor 찰 동해 손상 f3- 유 꽁핵 석 꽉 정값이 향으모 -턱-정시워 진다
        4,300원
        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iterpene saponins (ginsenosides) are main bioactive compounds in Panax ginseng. From mevalonic acid pathway, the isoprene units was synthesized that is precusor of triterpene saponin. This study provides the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of the full-length cDNA involved in mevalonic acid biosynthesis pathway. We had a full-length cDNA sequences as followed; HMGS (1944bp, 1407bp ORF), HMGR (2120bp,1728bp ORF) and MDD (1760bp, 1263bp ORF) with partial poly (A). We were used real time PCR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o analysis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involved in MVA pathway and to ginsenoside contents, respectively. All cloned genes are constitutively expressed in all tested tissues but at different levels with the highest expression in fine roots. But ginsenoside contents is highest in leaf > fine root> lateral root > red berry> main root > petiol > stem. After treantment of methyl Jasmonate (MeJA), MVA pathway genes are highly expressed and ginsenoside contents was high at 72h.
        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thyl jasmonate(MeJA) treatment promotes the plant secondary, especially triterpene saponin which is main compounds in Platycodon grandiflorum. We were performed 5,760 expressed sequence tags from MeJA treated hairy root. Total number of ESTs are 2,536 (811 contigs and 1,725 singletons) among them 2,299 are pass the annotation. The most abundant transcript were encoding fatty acid desaturase (FAD) and lots of secondary metabolite transcript were observed. Four MVA pathway genes (HMGS, HMGR, MK, MDD) and one MEP pathway gene (IDI) are identified. The unigene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functional categories by standard GO (Gene Ontology) - cellular component, molecular function and biological process. In this study we were cloned four genes from ESTs : HMGS (1401bp ORF), MK (1167bp ORF), MDD (1254bp ORF), IDI (909bp ORF)
        6.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is a tropical and subtropical vine of the family Cucurbitaceae, widely grown for edible fruit, which is among the most bitter of all vegetables. Bitter melon contains an array of biologically active plant chemicals including triterpenes, proteins, and steroids. The fruit is useful in gout, rheumatism and subacute cases of the spleen and liver diseases. It is supposed to purify blood and dissipate melancholia. It has also been shown to have hypoglycaemic properties (anti-diabetic) in animal as well as human studies. Raw materials of used in pharmaceuticals, health food, cosmetics, food, perfumery and other industries. However, bitter melon is not popular in Korea.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bitter melon in Korea, we collected 13 varieties of bitter melon from domestic andabroad. We study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bitter melon. In general frui tsize and weight of Philippines and Japanese varieties was larger than that of Chinese and Korean. We are studying chemical analysis of useful compound (diosgenin and GABA) from bitter mel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