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환식 수막시스템의 적정 수온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딸기를 토경재배하고 있는 실험온실에서 외부온도, 수막용수의 수온 및 야간시간대에 따른 처리방식별 온실 내부 환경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조구는 무수막 온실이고, 처리구는 수온이 10oC, 15oC로 각각 설정된 순환식 수막온실로서 모두 무가온 및 추가적인 보온자재의 투입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수막이 직접 살수되는 2중 비닐하우스는 폭 5.5m, 길이 55m이고, 분당 살수되는 평균 수막유량은 38.5~44.5L로 나타났다. 3가지 처리조건 모두에서 외부온도와 내부온도는 양의 선형관련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 (10, 15oC)의 외부온도에 대한 상관성은 유사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보온효과는 수온 15oC 처리구가 수온 10oC 처리구보다 1.3oC 정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온도가 약 -8.1~8.6oC 범위에서 변화할 때, 처리조건 별 최저온도는 무처리구, 수온 10oC 처리구, 수온 15oC 처리구가 외부에 비해 각각 6.4, 11.0, 12.3oC 정도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온도는 무처리구, 수온 10oC 처리구, 수온 15oC 처리구의 순으로 높아지고 온도변화폭은 오히려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외부 최저 온도가 -1.3oC, 평균온도가 1.5oC인 날은 수막시스템의 수온을 10oC로, 외부 최저온도가 -4.7oC, 평균온도가 -0.2oC 인 날은 수온을 15oC로 설정해도 온실의 목표온도(5oC)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조건별 야간시간대( 일몰 후, 자정, 일출 전, 일출 후)에 따른 온실 내부와 외부의 온도는 전반적으로 일몰직후가 가장 높고, 이후 서서히 감소하여 일출직전이 가장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온실의 목표온도 유지를 위해서는 일출직전 시간대에 특히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순환식 수막 시스템의 수온을 획일적으로 15oC 이상으로 결정하기 보다는 외부온도 변화, 야간시간대, 재배작물에 따라 다르게 결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10.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the result of our investigation on the impact of the low Solar abundance of Asplund and collaborators (2004) on the derived ages for the oldest star clusters based on isochrone fittings. We have constructed new stellar models and corresponding isochrones using this new solar mixture with a proper Solar calibration. We have found that the use of the Asplund et al. (2004) metallicity causes the typical ages for old globular clusters in the Milky Way to be increased roughly by 10%. Although this may appear small,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rpretation for the formation epoch of Milky Way globular clusters. The Asplund et al. (2004) abundance may not necessarily threaten the current concordance cosmology but would suggest that Milky Way globular clusters formed before the reionization epoch and before the main galaxy body starts to build up. This is in contrast to the current understanding on the galaxy formation.
        4,000원
        8.
        199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andard stellar models for α Cen A and B have been constructed without resorting to the arbitrary constraint of the Solar mixing length ratio. Assuming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 ages of the two stars are the same, series of models have been constructed. Using the observational constraints, [Z/X], we were able to constrain the number of the 'possible' models. We find that utilizing the observational constraints of [Z/X] the best models for α Cen system are with the initial Z = 0.03, X = 0.66~0.67. In particular,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stars may have the same mixing length ratio 1.6~1.7,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the calibrated Solar model. And, the age of the system is about 5.4 Gyr. Finally, the large spacing of the p-modes is predicted to be 104 ± 4μHz for α Cen A.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