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감 과수원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노린재의 방제 목적으로 사용되는 페로몬트랩의 유인거리를 확인하고, 페로몬트랩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끈끈이트랩의 사용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노린재에 마커로 표시한 후 방사하여 페로몬트랩과 끈끈이트랩에 재포획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페로몬트랩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60 m까지 유인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끈끈이트랩의 포획률은 0주차 35%, 1주에서 27%, 2주에서 34%, 3주에서 2.9%, 4주에서 0.6%로, 3주 이후부터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페로몬트랩과 끈끈이트랩을 동시에 사용한 경우가 페로몬트랩만 단일로 사용한 경우보다 약 12배 높은 포획률을 보였다.
        4,000원
        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양에 활용되는 유기농업자재(퇴비, 유황)가 굼벵이 생육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육시험을 수행하였다. 먹이는 참나무발효톱밥을 이용하였으며, 가축의 퇴비와 유황을 일정비율(0.3, 1, 3, 10 %) 섞어 사육하였다. 시험곤충은 흰점박이꽃무지 2령 유충을 사용하였다. 사육 시 나타나는 생장율 차이를 비교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발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참나무발효톱밥으로만 사육한 개체에 비해 유황을 혼합한 경우, 유황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생중량의 증가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축퇴비(우분 40%, 돈분 10%, 계분 5%)를 배합하여 사육한 경우, 참나무발효톱밥에 10% 퇴비를 배합하였을 때, 21일 후 생중량이 평균 4.18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농경지에서 문제가 되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농가에서는 식물추출물 등 다양한 자가제조 유기농업자재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가 자가제조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하여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eilla occidentalis)에 대한 살충효과를 시험하였다. 유기농업자재는 유기재배 농가에서 직접 수집하였으며 식물추출물로는 마늘, 돼지감자, 은행잎 등의 식물추출물과 목초액, 식물오일 등 8종의 자재를 이용하였다. 해충에 대한 살충시험은 25℃, 60% 습도 조건의 곤충사육실에서 이루어졌다. 처리시험을 위해 오이절편을 페트리디쉬에 넣고 시험곤충을 접종하여 농가수집자재를 원액, 30배, 100배, 300배로 희석하여 충체 살포법으로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36시간, 72시간 후 사충률을 조사하였다. 진딧물의 경우 100배 희석처리에서 약초액비가 75%, 유화오일이 62.5% 은행잎액비가 42.5%의 살충효과를 각각 보여주었다. 꽃노랑총채벌레에는 협죽도와 마늘이 94.7%와 88.0% 살충효과를 보여주었다.
        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많은 유기농가에서는 토양의 물리성을 개선하고 양분을 공급하는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녹비작물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녹비를 활용하여 해충을 억제하고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재배시험은 전북 완주군 내 국립농업과학원 유기재배 포장에서 이루어졌다. 시험 처리구에 헤어리베치를 재배하고 경운을 하지 않고 일부 녹비를 남겨둔 생물피복 상태에서 고추를 정식하였다. 고추 재배기간 헤어리베치 피복포장에 나타난 해충 등 곤충과 거미의 밀도를 비닐로 피복을 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시험포장의 해충을 조사한 결과, 고추의 주요 해충인 진딧물은 6월 초부터 말까지 대조구에 비해 헤어리베치 피복구에서 지속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진딧물의 주요 천적인 무당벌레의 경우 6월 초에는 헤어리베치 피복구가 높게 나타났으나 6월 말에는 대조구에서 높은 밀도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