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는 우리나라 곰솔(Pinus thunbergiane)림의 주요 해충중의 하나이다. 솔껍질깍지벌레는 단목 (丹木)마다 밀도에 차이가 있고, 수관 내 가지별로도 밀도차이가 있어 예찰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솔껍질깍지 벌레의 분포나 발생을 예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곰솔림에서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 성충의 밀도와 가지 내 약충의 밀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성충의 밀도는 곰솔의 상층부가 하층부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곰솔 가지의 단위면적당 솔껍질깍지벌레 밀도는 흉고직경이 클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2.5 cm 사이의 굵기 내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곰솔 가지의 방향이 지면을 향하는 쪽이 반대 방향을 향하는 쪽에 비하여 솔껍질깍지벌레의 밀도가 높았다. 솔껍 질깍지벌레의 예찰에 끈끈이 트랩의 사용을 제안하며, 가지에서의 밀도는 2~2.5 cm 굵기의 가지를 선택하여 지면쪽의 밀도 조사를 추천한다.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associated with the pine wilt disease and transmitted by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Because pine sawyer has one-year life cycle, one natural infection of PWN is occurred a year. Therefore, artificial propagation method of PWN is needed to improve experiment associated with PWN. In this study, effect of diameter, paraffin sealing of twig and dosage on pine wood nematode reproduction in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PWN reproduction was compared in twigs of P. thunbergii and P. densiflora. Numbers of reproduced PWN were higher with decreasing diameter of twig. Distance (5 and 10 cm) from inoculation site of PWN did not influence reproduction of PWN. Reproduced numbers of PWN were higher in the paraffin-sealing twig than non-sealing twig. Dosage of PWN influenced reproduction of PWN. Reproduction rate was the highest at the rate of 10 IJs (13.7 and 61.1-fold increasing in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respectively 30 days later) whereas lowest at the rate of 1000 Ijs (1.1 and 0.7-fold increasing in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respectively 30 days later). Numbers of reproduced PWN were more in P. thunbergii than P. densiflo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