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에서 청보리를 수확한 후 사료용 옥수수를 뒷그루로 재배할 경우 옥수수의 파종 시기는 청보리의 수확시기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에따라 조사료 생산량이 영향을 받게 된다. 본시험은 청보리를 생육단계별로 수확한 후 뒷그루로 사료용 옥수수를 파종하는 작부체계에서조사료 생산성이 최대가 되는 청보리 수확시기와 사일리지 옥수수 파종시기를 구명코자 2009~2010년 충남농업기술원 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청보리는 출수 후 20일에 수확하는 것이 생초수량이 가장 높았으나 건물수량과 TDN수량은 황숙기에 수확(출수 후 25일경)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 옥수수는 청보리를 출수 25일에 수확한 후 파종하면 건물수량이 적기 파종에 비하여 약 16% 감소하였다. 옥수수 적기 파종에 의한 단작 재배는 청보리 출수 후 25일수확+ 옥수수 파종 작부조합에 비하여 총 생수량 31%, 총 건물수량 28%, 총 TDN 수량23% 감소되었다. 청보리+ 옥수수 작부조합에서 총 생초수량은 청보리 출수 후 15일 수확 옥수수 파종 이 가장 높았으나, 총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청보리 출수 후 25일 수확 사일리지 옥수수 파종 이 가장 높았으며,이 때 청보리 생육단계는 황숙기이었고, 수분함량이 사일리지 제조에 가장 알맞은 시기이었다. 청보리를 황숙기 이후에 수확하면 옥수수의 수량이 급격히 감소되어 조사료의 총 생초수량과 TDN 수량이 크게 감소되므로 청보리를황숙기 이전에 수확하고 옥수수를 가급적 빨리파종할 필요가 있다.
        4,000원
        4.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ur different rice varieties, Sindongjinbyeo, Dongjin #1, Saegyehwabyeo, and Iksan 467, were transplanted under three different nitrogen levels and two different seedling numbers per hill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panicle traits under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and to propose the ideal panicle structure in Japonica rice. Sindongjinbyeo and Iksan 467 were characterized by more primary rachis branches (PRBs) per panicle and more grains on PRB than other cultivars. The two varieties also had fewer secondary rachis branches (SRBs) per PRB and fewer grains on SRB per PRB. These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resulted in higher ripened grain rate, contrary to that of Dongjin #1 and Saegyehwabyeo.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PRB number per panicle and grain number on PRB per panicl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ipened grain rate, while SRB number per panicle,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anicle, SRB number per PRB,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RB and grain number per panicl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ipened grain rate. Therefore, the number of grains on PRB per panicle, SRB number per PRB and the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RB were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determining and achieving higher ripened grain rate in rice. High ripened grain rate over 90% was obtainable with over 12.5 PRBs per panicle and 63 grains on PRB per panicle, and with under 1.7 SRBs per PRB, 5 grains on SRB per PRB, 130 grains per panicle, and 14 panicles per hill. The study recommended that for over 90% high ripened grain rate, the critical limiting factors should be under 2 SRBs per PRB, 6 grains per PRB, and 130 grains per panicle, irrespective of the PRB number per panicle and the number of grains on P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