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물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하여 해양생물에 대한 유해성 등의 연구 현황을 종합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안 하고자 한다. 미세플라스틱은 5 mm 이하의 합성 고분자화 합물로, 환경으로 배출된 이들 물질은 물리적으로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분해되지 않아 육지와 해양의 연안부터 원양까지, 표층과 심해에도 광범위하게 축적된다. 미세플라스틱은 해양 생물에게 섭식 및 축적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에 첨가된 화학물질의 용출로 인한 위험성도 존재한다. 해양에 축적된 미세플라스틱은 해양 생물의 성장과 발달, 행동, 번식 및 사망 등에 영향을 끼친다. 다만 미세플라스틱의 특성은 크기, 재질, 모양 등 매우 다양하며, 몇가지 특성의 미세플라스틱으로 수행된 독성 시험이 다른 모든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을 대표할 수 없다.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의 유형에 따른 위해성의 경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나, 미세플라스틱의 다양성으로 인해 여러 연구 결과에 통일성이 없어 비교 및 분석이 어렵다. 따라서 미세플라스틱의 유형에 따른 생물학적 위험을 추정하기 위해 표준시험법의 도출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실험의 편의에 의해 대부분 구형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있으나, 해양환경과 어패류에서 발견되는 미세플라스틱의 형태는 섬유 및 파편이 주류인 현실을 제대로 반영 하고 있지 못하다. 더불어 플라스틱에 들어있는 첨가제 및 흡착 유해물질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미세플라스틱의 형태로 생물의 체내로 들어갔을 때의 독성영향에 대하여 알 려진 바는 거의 없다. 표준시험법의 개발, 구형보다 섬유와 파편 형태의 미세플라스틱에 대하여, 그리고 첨가제와 흡착 유해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해양 생태계 및 인간에 대한 미세플라스틱의 영향을 보다 상세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4,800원
        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se of bee venom (Apis mellifera L., BV) occasionally causes side effects such as inflammation and allergic reactions in the recipients. Several case reports also suggested the treatment of BV has some limitations in its clinical uses, due to the occurrence of dermal necrosis and anaphylatic reactions.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bee venom allergy is mainly the result of its allergic component, phospholipase A2 (PLA2).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generate PLA2-free bee venom (PBV) and evaluate its efficacy as skin care and cosmetic preparation, comparing with original bee venom (BV). Our results showed that both BV and PBV exhibit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in UVB-irradiated human keratinocyte (HaCaT) and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s and they also induced type I collagen synthesis in UVB-irradiated HDF cells except BV at 3 μg/ml. Furthermore, BV and PBV showed the inhibition of UVB-stimulated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a major collagen degrading enzyme in skin. However, BV, unlike PBV, exhibited strong cytotoxicities in skin cells (both HaCaT and HDF) at its working concentrations of anti-wrinkle effect. The underlying cell signaling mechanisms of anti-wrinkle effects of BV and PBV were demonstrated by the activation of ERK1/2, and p38. Conclusively, PBV appears to be the bee venom of choice with less cytotoxicity and higher efficacy on UVB-irradiated skin cell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bee venom (BV). Therefore, PBV can better be used as a cosmetic ingredient exhibiting excellent anti-wrinkle effect against photoaging than original BV.
        4,200원